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서부지방법원 2015.09.23 2014가합4514
손해배상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2012. 7. 4. 피고와 사이에, 원고의 남편 소유의 서울 마포구 C 대지 및 그 지상 다가구주택(이하 ‘사건외 부동산’)과 피고 부부가 1/2 지분씩 소유하고 있던 서울 은평구 D 대지 및 그 지상 ‘E’ 고시원(이하 ‘이 사건 부동산’)을 교환하기로 하는 이 사건 교환계약을 체결하였다.

원고와 피고는 교환 목적물의 가액을 이 사건 부동산은 1,170,000,000원, 사건외 부동산은 850,000,000원으로 각 평가하고, 그 차액은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에 설정되어 있던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인수하는 등의 방법으로 정산하기로 약정하였다.

나. 이 사건 교환계약에 따라,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는 2012. 10. 22. 원고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지고, 사건외 부동산에 관하여는 10. 26. 피고의 처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

다. 한편 은평구청장은 2012. 5. 22. 고시원으로 사용승인된 이 사건 부동산을 원룸주택으로 사용한 것, 즉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각 방별로 개별 취사시설을 설치한 것이 건축법에 위반되므로 이를 철거하라는 내용의 1차 시정명령을 내렸고, 위 시정명령이 이행되지 아니하자

8. 1. 2차 시정명령을 내리면서

8. 3. 이 사건 부동산의 건축물대장에 이 사건 부동산이 건축법위반 건축물이라는 내용을 등재하였으며, 10. 8. 3차 시정명령을 내리면서 이행강제금을 부과하였다.

그 후 시정명령에 따른 조치가 이행되어 11. 28. 건축물대장에 건축법위반 건축물로부터 해제되었음이 기재되었다. 라.

피고는 1차 시정명령이 내려졌음에도 원고에게 이를 고지하지 않고 이 사건 교환계약을 체결하여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였다는 사기의 범죄사실로 2014. 4. 4.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의 유죄판결(이 법원 2013고단3114)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