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4.07.03 2014노992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절도)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피고인은 2003. 12. 1. 저녁 피해자가 지갑을 절취당하였다는 장소 인근 공원에서 피해자 소유의 티머니(T-money) 카드를 주워 사용한 사실이 있을 뿐, 피해자의 지갑을 절취한 사실이 없다.

2. 판단 이 사건에 있어 피고인이 피해자의 지갑을 절취하는 것을 목격한 사람의 진술 등 공소사실에 부합하는 직접증거는 없다.

그러나 형사재판에 있어서 유죄의 심증은 반드시 직접증거에 의하여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경험칙과 논리법칙에 위반되지 아니하는 한 간접증거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간접증거가 개별적으로는 범죄사실에 대한 완전한 증명력을 가지지 못하더라도 전체 증거를 상호 관련 하에 종합적으로 고찰할 경우 그 단독으로는 가지지 못하는 종합적 증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에 의하여도 범죄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대법원 2013. 6. 27. 선고 2013도4172 판결 등 참조).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에 의하면, 피해자는 2013. 12. 1. 18:10경 서울 마포구 C 앞길에서 가방을 등에 메고 가던 중 그 안에 들어 있던 지갑을 절취당한 사실[피해자는 당시 방송촬영이 있어 사람이 많은 곳을 지나기 직전 가방 안에 든 지갑을 확인하였고, 그 곳을 지난 직후 다시 가방을 보니 가방이 열려 있고 지갑이 없어졌다고 구체적으로 진술하는바, 피해자가 위 장소가 아닌 다른 곳에서 지갑을 도난당하거나 분실하였을 가능성은 없다고 보인다(증거기록 10, 324-325면)], 피고인은 피해자가 지갑을 절취당하던 시간에 같은 장소에 있었던 사실[피고인 역시 방송촬영으로 사람이 많이 모여들었던 곳에 있었다고 진술한다(증거기록 198, 204면)], 피고인은 2013. 12. 1. 21:14경 피해자의 지갑에 들어있던 티머니 카드를...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