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6.01.28 2014노2856
경매방해등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

A을 징역 6월에, 피고인 B를 벌금 800만 원에, 피고인 C를 벌금...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피고인 A 이하에서는 따로 구분하여 기재할 필요가 없는 한, 각 피고인의 해당 항목에서 피고인의 성명을 적시하지 아니하고 ‘ 피고인’ 이라고 지칭하고, 나머지 피고인은 성명으로 지칭한다.

: 양형 부당 피고인은 당초 항소 이유로서 사실 오인 주장도 하였다가, 당 심 제 1회 공판 기일에서 이를 철 회하였다.

피고인에 대한 원심의 형( 징역 8월) 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나. 피고인 C : 사실 오인, 법리 오해 및 양형 부당 1) 배임 수재 미수의 점과 관련한 사실 오인 및 법리 오해 피고인은 A으로부터 부정한 청탁을 받거나 이에 응한 사실이 없고, 이를 인정할 증거도 없다.

원심은 P의 진술을 근거로 피고인들에 대한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는바, P의 진술은 일관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원심이 그 신빙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설시한 사정들 중 B가 A에게 보낸 문자 메세지 내용에서 ‘C 차량 교체’ 부분 및 B가 피고인으로부터 ‘ 차를 바꿔야 하는데 A이 약속한 돈을 주지 않아 차를 바꾸지 못하고 있다’ 는 하소연을 들은 바 있다고

진술한 부분은 전문 증거로서 증거능력이 없고, 나머지는 피고인과 무관한 사정들이다.

그럼에도 피고인에 대한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거나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

2) 경매 방해 및 업무상 배임의 점과 관련한 사실 오인 및 법리 오해 피고인은 A, B 와 경매 방해 및 업무상 배임의 범행을 공모하거나 그 실행을 분담한 사실이 없고, 이를 인정할 증거도 없다.

원심이 이 부분 공소사실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거시한 CD 영상 및 녹취록의 기재는 피고 인의 공모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될 수 없고, 피고인이 이 사건 점포 원심에서 줄여 부른...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