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6.09.30 2016노2753
사기등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사실 오인 내지 법리 오해 피고인은 피해자 C로부터 금원을 편취할 범의가 없었음에도 원심은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으므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거나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나. 양형 부당 원심이 피고인에게 선고한 형( 원심 판시 제 1 죄 : 벌금 500만 원, 판시 제 2 죄 : 벌금 50만 원) 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사실 오인 내지 법리 오해 주장에 대한 판단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 즉, ① 피해자 C는 수사기관에서부터 원심 법정에 이르기까지 일관하여 피고인이 자신에게 5부 이자를 쳐 줄 테니 돈을 맡겨 보라고 권유하여 돈을 빌려 주었고, 피고인으로부터 이자나 원금을 변제 받은 적이 없다고 진술하고 있는 점, ② 피고인은 최초 경찰 조사에서는 피해자 C로부터 90만 원을 받아 약 3일 후 이자 10%를 포함하여 100만 원을 변제하였고, 이틀 후 180만 원을 받아 이자 10%를 포함하여 200만 원을 변제하였으며, 이후 400만 원을 받아 이를 변 제하지 못하였다고

진술하였다가, 2회 경찰 조사에서는 피해자 C로부터 차용하기로 한 700만 원 중 선이자 60만 원을 제외한 640만 원을 송금 받아 그 중 200만 원을 변제하였다고

진술하였고, 다시 검찰 조사에서는 이자 10%를 포함하여 100만 원과 200만 원을 변제하였고, 이후 차용한 40만 원과 600만 원은 변제하지 못하였으며, 이외에 300만 원을 더 변제하였다고

진술하는 등 차용 및 변제 내역에 관한 진술이 일관되지 못하고, 피해자 C에게 이자나 원금을 변제하였다는 금융자료를 전혀 제출하지 못하고 있는 점, ③ 또 피고인은 검찰 조사에서 피해자 C로부터 차용한 금원을 N에게...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