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의정부지방법원 2016.05.24 2016노334 (1)
공무상표시무효
주문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사실 오인) 피고인은 채권자의 승낙을 받거나 집행관에게 압류 물건 장소 이전 신청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채 압류 물을 이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부친 A이 압류표시를 손상한 사실을 잘 알고 있었는 바,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 인한 나머지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판단

가.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소속 집행관 D은 2014. 8. 18. 10:57 경 고양 시 일산 동구 E, 다세대주택 202호와 303호 A의 주거지 내에서 채권자 F의 집행 위임을 받은 위 법원 2013 가단 37862호 판결 문 정본에 의하여 A의 소유인 TV(LG) 등 별지 압류 품목과 같이 8점의 유체 동산을 압류하고 그 물품에 압류표시를 부착하였다.

그런데 피고인은 A과 공모하여 2014. 10. 16. 고양시 일산 동구 G, 101동 1401 호로 위 압류 물을 옮기고 위 압류 물에 부착되어 있는 압류표시를 함부로 제거하였다.

이로써 피고인은 A과 공모하여 공무원이 그 직무에 관하여 실시한 압류표시를 손상하여 압류표시의 효용을 해하였다.

나. 원심의 판단 원심은,「 공소사실에 부합하는 듯 보이는 증거로 피고인이 위 공소사실을 인정한다는 취지로 진술한 피고인에 대한 제 2회 경찰 피의자신문 조서가 있는데, 피고인이 수사기관 이래 이 법정에 이르기까지 ‘ 이 사건 이전에 아버지인 A이 집행관에게 압류 물건 장소 이전 신청서를 제출하고 집행관의 허락을 받아 압류 물을 옮긴 적이 있는데, 이 사건에서도 A이 위와 같이 이동신고를 하였을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하였다.

A이 압류표시를 제거한 것을 이후에 알게 되었기는 하나 압류 물을 보관만 하고 있으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 는 취지로 진술하고 있고, 위 피의자신문 조서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