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7.10.12 2016가단5304143
소유권말소등기
주문

1.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는 1912년 토지조사령을 공포하여 1918년까지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는데, 그 무렵 작성된 토지조사부에는 주소가 ‘양주군 H리’인 I이 경기도 포천시 J 전 1166평(이하 ‘제1사정토지’) 및 K 전 681평(이하 ‘제2사정토지’)을 사정받은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나. 한편 제1사정토지는 그 후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필지로 분할되었는데, 그 분할된 토지 중의 일부인 경기도 포천시 F 도로 506㎡(이하 ‘제1토지’)에 관하여 의정부지방법원 포천등기소 2004. 8. 9. 접수 제26931호로 피고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졌다.

한편 제2사정토지 또한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필지로 분할되었는데, 그 중의 일부인 경기도 포천시 G 도로 126(이하 ’제2토지‘)㎡에 관하여 의정부지방법원 포천등기소 2004. 8. 9. 접수 제26931호로 피고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졌다

(이하 제1, 2 사정토지를 합하여 ’이 사건 각 사정토지‘라고, 제1, 2토지를 합하여 ’이 사건 각 토지‘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다.

이 사건 각 사정토지의 사정명의인인 I은 생전에 L를 양자로 입양하였다가 1940. 12. 10. 사망하였고, L는 슬하에 원고 A, 망 M을 자녀로 두었다가 1986. 2. 25. 사망하였는데, 망 M은 원고 B과 혼인하여 슬하에 원고 N, D, E을 자녀로 두었다가 1984. 8. 11. 사망하였는바, 이에 따라 원고들이 망 L의 재산을 공동으로 상속하였다. 라.

이 사건 각 사정토지에 관한 토지조사부에 기재된 I의 주소 ‘양주군 H리’는 1914년에 O리로 변경되었고, 위 O리는 현재의 남양주시 P동에 해당된다.

한편 이 사건 각 사정토지의 사정명의인 I의 주소지에 원고들의 선대 Q 이외에 그와 동일한 성명과 한자를 사용하는 사람이 존재하지 아니하였다. ...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