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지방법원 2016.07.14 2016구합10787
장애연금지급청구에대한미해당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아래와 같이 국민연금가입자격을 유지하고 있었던 사람으로서 1997. 8. 14. 구 국민연금법(1999. 1. 1. 법률 제56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국민연금법’이라 한다) 제67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반환일시금을 지급받았고, 이후 원고의 국민연금 가입기간은 “1998. 9. 1. ~ 1998. 12. 24., 1999. 4. 1. ~ 2001. 6. 8.”이다.

사업장 명칭 가입기간 개월 수 B 1992. 10. 01. ~ 1992. 12. 22. 2 C 1993. 01. 11. ~ 1993. 08. 22. 7 D 1994. 04. 13. ~ 1994. 05. 30. 1 E 1994. 07. 01. ~ 1995. 01. 04. 6 F 1995. 02. 14. ~ 1996. 08. 12. 18 합 계 34

나. 원고는 G병원에서 1998. 6. 30. 초진 및 1998. 7. 6. MRI 검사결과 “제11-12 흉추 간 유합상태, 척추후만증(이하 ‘이 사건 제1차 상병’이라 한다)” 진단을 받았다.

다. 원고는 1998. 12. 18. 교통사고로 H병원에서 2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경추부 및 요추부 염좌 진단을 받았고, 2000. 7. 16. 교통사고로 I외과에서 약 2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우측 견관절 타박상 진단을 받았다. 라.

원고는 2001. 11. 22. 피고에게 이 사건 제1차 상병을 이유로 장애연금의 지급을 청구하였고, 피고는 2001. 12. 13. 원고에게 “국민연금 가입 중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이유로 장애연금 수급권 미해당 처분을 하였다.

원고는 위 처분에 대하여 2002. 2. 5. 심사청구 및 2002. 5. 6. 재심사청구를 하였으나, 심사청구는 2002. 4. 18., 재심사청구는 2002. 7. 2. 각 기각되었다.

마. 원고는 “척추후만변형, 흉추척추관 협착증, 신경손상(이하 ‘이 사건 제2차 상병’이라 한다)”으로 2006. 6. 16. 제9, 10, 11흉추 간 금속기기를 이용한 골유합술, 2006. 6. 21. 신경감압적 황색인대 제거술, 2007. 7. 11. 창상세척술 및 금속기기 제거술, 그 이후 창상감염 및 연무조직 결손에 대한 치료를 받았고 2011....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