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6.12.27 2014도15054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위반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헌법 제32조 제2항,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동조합법’이라고 한다) 제5조 단서, H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이하 ‘H노조법’이라고 한다) 제3조 제1항에서 H의 노동기본권에 헌법적 제한을 두고 H노동조합의 설립이나 가입에 관하여 따로 법률로 정한 취지와 그 제정 경위, H 지위의 특수성 등을 종합하여 보면, H을 구성원으로 삼아 조직된 근로자단체는 H노조법이 정한 설립신고 요건을 갖추어 H노동조합으로 설립되는 경우에 한하여 노동기본권의 향유 주체가 될 수 있다.

2. 원심은, 피고인 가칭 B노동조합은 면직파면 또는 해임된 H으로서 노동조합법 제2조 제4호 (라)목에 규정된 근로자가 아닌 자를 조합원으로 가입하게 하여 H노조법이 정한 설립신고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고, 그 설립신고가 적법하게 반려된 사실, 피고인 A이 2010. 3. 9. 유인물을 배포하면서 ‘B노동조합’이라는 노동조합 명칭을 사용한 것을 비롯하여 그 무렵부터 2011. 10. 8.까지 계속하여 노동조합 명칭을 사용한 사실, 피고인 A이 피고인 가칭 B노동조합의 사용인인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와 같이 H노조법이 정한 설립신고 요건을 갖추어 H노동조합으로 설립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피고인 가칭 B노동조합에 대하여 노동조합 명칭을 사용한 행위는 노동조합법 제7조 제3항을 위반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한편, 노동조합 설립신고 반려처분의 효력을 다투는 동안에는 노동조합 명칭을 사용한 행위가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거나 정당행위 또는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라는 피고인들의 주장을 배척하고,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다.

3.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