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서부지방법원 2016.11.11 2016가단215267
추심금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원고는 2016. 3. 11. 서울서부지방법원 2016타채50968호로 채무자 주식회사 용인에코벨리, 제3채무자 피고, 청구금액 100,000,100원으로 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결정을 받았다.

위 결정은 압류할 채권을 “채무자가 서울서부지방법원 2015카명20911호 사건의 재산명시기일에 진술한 제3채무자에 대하여 가지는 정기적으로 받을 보수 및 금전 채권 중 위 청구금액에 이를 때까지의 금원”으로 표시하고 있다.

위 결정은 2016. 3. 16. 피고에게 송달되었다.

한편 주식회사 용인에코벨리가 서울서부지방법원 2015카명20911 재산명시 사건의 재산명시기일에 제출한 재산목록에는 피고에 대한 정기적으로 받을 보수 채권으로 용역료 77,000,000원(수령일: 매월말), 피고에 대한 금전채권으로 4,872,539,524원, 6,229,119,700원, 71,598,580원이 각 기재되어 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2, 3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위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에 압류할 채권으로 기재된 “채무자가 서울서부지방법원 2015카명20911호 사건의 재산명시기일에 진술한 채권”이라는 문언 자체로는 주식회사 용인에코벨리가 재산명시기일에 진술한 채권이 어떤 채권인지 전혀 알 수 없어 압류의 대상인 채권이 특정되었다고 볼 수 없다.

나아가 주식회사 용인에코벨리는 피고에 대하여 매월 받을 보수(용역료) 채권과 3건의 금전채권을 가지고 있고 그 금액은 원고의 청구금액을 훨씬 초과하므로 피고로서는 자신에 대한 어느 채권이 어느 범위에서 압류되었는지도 전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위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에 의한 압류는 피압류채권이 특정되지 않아 무효이므로(대법원 2011. 2. 10. 선고 2008다9952 판결, 2012. 11. 15. 선고 2011다38394 판결, 2015. 9. 10. 선고 2013다216273 판결 등 참조), 그...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