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동부지방법원 2017.04.14 2016고정1724
청소년보호법위반
주문

피고인은 무죄.

이유

1. 공소사실의 요지 누구든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유해 약물 등을 판매하거나 무상으로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6. 6. 1. 00:30 경 서울 송파구 C, 1 층에 있는 'D' 음식 점 안에서, 연령을 확인하지 아니하고 청소년인 E(17 세), F(18 세 )에게 청소년 유해 약물인 소주 8 병과 맥주 7 병을 52,000원에 판매하였다.

2. 판단

가. 음식점을 운영하는 사람이 그 음식점에 들어온 여러 사람의 일행에게 술 등의 주류를 판매한 행위가 청소년 보호법 제 51조 제 8호에 규정된 ‘ 청소년에게 주류를 판매하는 행위 ’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그 일행에게 술을 내 어 놓을 당시 그 일행 중에 청소년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를 음식점 운영자가 인식하고 있었어야 할 것이므로, 술을 내 어 놓을 당시에는 성년자들 만이 자리에 앉아서 그들 끼리만 술을 마시다가 나중에 청소년이 들어와서 합석하게 된 경우에는 처음부터 음식점 운영자가 나중에 그렇게 청소년이 합석 하리라는 것을 예견할 만한 사정이 있었거나, 청소년이 합석한 후에 이를 인식하면서 추가로 술을 내 어 준 경우가 아닌 이상, 합석한 청소년이 상 위에 남아 있던 소주를 일부 마셨다고

하더라도 음식점 운영자가 청소년에게 술을 판매하는 행위를 하였다고

는 할 수 없다( 대법원 2001. 10. 9. 선고 2001도4069 판결, 대법원 2009. 4. 9. 선고 2008도11282 판결 등 참조). 나. 위 법리에 비추어 이 사건에 관하여 보건대, 피고인의 법정 진술, E, F의 각 법정 진술에 의하면, 피고인이 판시 일 시경 위 'D' 음식점에서 청소년인 E, F의 신분증을 확인하지 아니하였고, 이들이 위 음식점에서 술을 마신 사실은 인정된다.

다.

그러나 이 법원에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