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3.06.13 2012도15963
근로기준법위반등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반의사불벌죄에 있어서 피해자가 처벌을 희망하지 아니하는 의사표시를 하거나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를 철회하였다고 인정하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진실한 의사가 명백하고 믿을 수 있는 방법으로 표현되어야 하고, 공소제기 후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의 철회는 제1심판결 선고 전까지 법원에 대하여 하여야 한다

(대법원 2012. 2. 23. 선고 2011도17264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D 등 근로자들이 2012. 5. 29. 제1심판결이 선고될 때까지 법원에 대하여 처벌불원 의사표시를 하였다고 볼 만한 자료를 찾아 볼 수 없으므로, 원심이 이 사건 공소사실 중 근로기준법 위반(임금 등 체불 내지 지급방법위반)의 점 및 구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위반(임금 등 체불)의 점을 유죄(공소기각된 부분 제외)로 인정한 조치에 반의사불벌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리고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제1심판결에 대하여 항소하면서 항소이유로 양형부당만을 주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심판결에 사실오인 내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