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6.01.22 2014구단58337
장해등급결정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부산지방경찰청 B에서 근무하던 자로, 2003. 1. 6. 퇴근 후 같은 아파트에 사는 친구 집에 저녁식사 초대를 받아 식사를 하던 중 갑자기 신체에 마비증세가 나타나 병원으로 이송되어 ‘뇌출혈’ 진단 하에 치료를 받다 ‘만성신부전증’(이하 ‘이 사건 상병’이라 한다)이 발견되어 함께 치료를 받았고, 이 사건 상병에 관하여 2012. 1. 30. 장애가 확정되었다.

나. 원고는 2012. 4. 30. 명예퇴직한 후 2014. 7. 7. 피고에게 장해연금을 청구하였는데, 피고는 2014. 7. 17. 원고의 장애등급이 제7급 제5호에 해당한다는 내용의 이 사건 처분을 하였다.

다. 이에 원고는 2014. 8. 27. 공무원연금급여재심위원회에 심사를 청구하였으나 2014. 9. 25. 기각되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1, 2호증, 을 1, 2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처분의 적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이 사건 상병으로 인한 원고의 장애 상태는 제2급 제4호(흉복부장기의 기능에 뚜렷한 장애가 남아 수시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사람)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와 다른 전제에서 이루어진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나. 의학적 소견 ⑴ 원고 주치의 ㈎ 2012. 4. 30.자 C병원 진단서 - 병명 : 만성신부전, 혈액투석 - 소견 : 원고는 만성신부전(혈액투석)으로 2012. 1. 30.부터 주 3회 혈액투석을 시작하였고, 향후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투석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2014. 7. 25.자 C병원 소견서 - 병명 : 고혈압, 말기 신장병 투석중(혈액투석), 신장 기원의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전립선의 비대(양성) - 소견 : 말기신부전으로 지속적으로 혈액투석 치료 중인 환자로 향후 평생 의료진의 관리를 받으며 투석 치료를 요함 ㈐ 2014. 8. 19.자 D의원 소견서 - 병명 : 신경인성...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