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지방법원 2019.08.21 2018가단16336
손해배상(기)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원고의 주장 피고는 공인중개사 자격이 없음에도, 2015. 7. 28. 원고가 C으로부터 광주 서구 E 외 4필지 상에 위치한 ‘F건물’ G호와 H호의 각 분양권을 매수하도록 알선하고 그 댓가로 C으로부터 400만 원을 수수하여 불법행위를 하였는바, 피고는 C 등의 중복분양으로 인하여 결국 위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지도 못하고 매수대금으로 지급한 9,000만 원을 돌려받지 못하게 되었으므로, 불법 알선행위를 하여 C 등의 불법행위에 가공한 피고는 C 등과 공동하여 원고의 위와 같은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2. 판 단 살피건대, 피고가 원고 주장의 불법 알선행위를 하였다는 점에 관하여,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C이 2016. 7. 18.경 ‘원고와 계약 체결로 인하여 수수료 400만 원을 피고 계좌로 입금하였다’는 내용으로 원고에게 작성해 준 입금확인서(갑 제7호증)가 유일한데, 이 사건 공동피고였던 C 이 사건 공동피고였던 C, D에 대하여는 2019. 7. 9. 및 같은 달 12. 각 화해권고결정이 확정되었다.

은 제3회 변론기일에 열린 당사자본인신문에서 ‘원고에게 미안한 마음에 원고가 작성해온 초안대로 위 입금확인서를 기재해주기는 하였으나, 피고에게 지급한 400만 원은 애초 피고가 먼저 매수하기로 이야기한 분양권을 원고에게 매도해버려 피고에게 분양권을 매도할 수 없게 되어 그에 대한 피고의 항의를 무마하기 위하여 준 것일 뿐 알선수수료가 아니었다’는 취지로 진술하면서 피고가 알선행위를 한 바 없다는 점을 명백히 하였고, 나아가 위 C의 진술은 '당시 친하게 지내던 원고로부터 돈을 차용하여 F건물의 분양권을 매수하려고 하였으나 원고가 돈을 빌려주지 않고 오히려 C이 피고에게 매도하기로 한 분양권을 먼저 매수해버리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