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구지방법원 2019.10.01 2013재고단25
국가보안법위반등
주문

피고인

B, C, D, 망 E 및 피고인 A에 대한 집회및시위에관한 법률위반의 점은 각 면소. 피고인...

이유

1. 사건의 경과

가. 피고인들은 대구지방법원 83고단4920호로 국가보안법위반, 반공법위반,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의 별지 공소사실로 구속 기소되었는데, 위 법원은 1984. 1. 19. 피고인 A에 대한 국가보안법위반, 반공법위반,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죄, 나머지 피고인들에 대한 각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죄에 대하여 모두 유죄로 인정하여 피고인 A에 대하여 징역 3년 및 자격정지 3년, 피고인 B, C, D, 망 E를 각 징역 1년 6월에 각 처한다는 판결을 선고하였고, 피고인들은 같은 날 항소를 포기하여 위 판결은 확정되었다

(이하 ‘재심대상판결’이라 한다). 나.

피고인

A, B, C, D과 피고인 망 E(2005. 3. 4. 사망)의 처 F는 2013. 5. 6. 재심대상판결에 형사소송법 제420조에서 정한 재심사유가 있음을 이유로 이 법원에 재심을 청구하였고, 이 법원은 2016. 3. 14. 사법경찰관의 형법상의 불법체포감금 및 폭행가혹행위죄에 대하여 공소시효가 완성됨으로써 이에 대한 확정판결을 얻을 수는 없으나, 과거사정리위원회의 결과 및 재심청구에 대한 심리절차에서 피고인들에 대한 경찰 조사가 사실상 인신이 구금당한 채 고문을 가하면서 이루어진 사실이 증명되어 형사소송법 제422조 본문에 해당하게 되어 재심개시결정을 하였고, 검사의 즉시항고가 2017. 8. 18. 기각되어 위 결정은 확정되었다.

2. 피고인들과 변호인의 주장 요지

가. 피고인들에 대한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의 점 개정된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구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제4호의 '현저히 사회적 불안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는 집회 또는 시위" 부분을 삭제하였고, 이는 종전의 조치가 부당하다는 반성적 고려에 의한 것이므로, 면소판결이 선고되어야 한다.

나. 피고인...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