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구지방법원 2018.11.30 2018노673
상해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을 벌금 300만 원에 처한다.

피고인이 벌금을 납입하지 아니하는...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피해자가 사망하였으므로, 피해자의 진술서는 형사 소송법 제 314조에 따라 증거능력이 인정되어야 한다.

또 한, 피해자의 진술이 구체적이며, 목격자 F의 진술도 공소사실에 부합한다.

그런 데도 피해자 진술서의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은 채 이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판단

가.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은 2017. 2. 16. 대구지방법원 김천 지원에서 상해죄 등으로 징역 8월 선고 받고 2017. 2. 24. 위 판결이 확정되었다.

피고인은 2017. 1. 29. 22:40 경 김천시 C에 있는 ‘D’ 식당에서, 피해자 E(49 세) 가 시끄럽게 떠든다는 이유로 피해자에게 시비를 걸고 주먹으로 얼굴을 수회 때려, 피해자에게 약 2 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치아의 상세 불명 파절 및 흉곽 전벽의 타박상을 가하였다.

나. 원심의 판단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이, E의 진술서는 그 작성이 ‘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 하에서 행하여 졌음’ 을 인정하기 어려우므로,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고, F의 진술만으로는 E가 피고 인의 폭행으로 상해를 입었다는 점을 단정하기 어렵고, 피해자가 폭행이 아닌 다른 이유로 상해를 입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다.

다.

당 심의 판단 1) 증거능력에 관하여 가) 참고인 진술서 등 피고인 아닌 자의 진술을 기재한 서류가 진술 자가 공판정에서 한 진술에 의하여 진정 성립이 증명되지 않았음에도 형사 소송법 제 314조에 따라 증거능력이 인정되려면, 진술 자가 사망 질병 외국 거주 소재 불명,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사유로 인하여 공판정에 출석하여 진술할 수 없는 때에 해당하고, 또 서류의 작성이 특히 신빙할 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