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9.01.10 2015다57904
회생채권조사확정재판에대한이의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가. 원심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주식회사 G(이하 ‘G’라 한다)가 피고(대주) 및 D 주식회사(차주, 이하 ‘D‘이라 한다)와 체결한 이 사건 자금보충약정에 따른 자금보충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함으로써 피고가 입은 손해액은 피고의 D에 대한 ’이 사건 대출원리금 전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위 대출원리금에서 피고가 D과의 이 사건 대출약정에 따라 취득한 인적ㆍ물적 담보의 실제 담보가치를 공제한 액수‘가 된다고 판단하였다.

1) 이 사건 자금보충약정에 의하면 G는 피고 측의 요청에 따라 D 명의로 피고 영업점에 개설된 대출금상환계좌에 잔존하는 이 사건 대출원리금을 보충할 의무가 있음에도, G는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였다. 2) G는 이 사건 자금보충약정에 따른 보충금을 입금하지 아니할 경우 피고가 입은 손해를 배상하기로 하였는바, G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피고가 입은 손해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재산상 불이익, 즉 채무불이행이 없었더라면 존재하였을 재산상태와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현재의 재산상태의 차이를 의미한다.

3) 그런데 D의 피고에 대한 이 사건 대출원리금 채무에는 F 주식회사(이하 ’F‘이라 한다

)의 연대보증이나 이 사건 대출약정에 따른 담보 등 인적ㆍ물적 담보가 설정되어 있었다. 4) 그렇다면 ① G의 자금보충의무 불이행이 없었더라면 존재하였을 피고의 재산상태는 ‘G가 차주인 D에게 지급하는 이 사건 자금보충약정에 따른 보충금을 대주인 피고가 D로부터 독점적으로 이전받아 이 사건 대출원리금 채권이 만족되는 상태에서의 이 사건 대출원리금 채권의 가치’이고, ② G의 자금보충의무 불이행으로 인한 피고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