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21. 8. 19. 선고 2018다270876 판결
[손해배상(산)][공2021하,1699]
판시사항

[1] 사용자가 근로계약에 수반되는 신의칙상의 부수적 의무로서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보호의무를 부담하는지 여부(적극) 및 이를 위반하여 근로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적극)

[2] 근로계약상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근로자의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하여 10년의 민사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판결요지

[1] 사용자는 근로계약에 수반되는 신의칙상의 부수적 의무로서 근로자가 노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명, 신체, 건강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인적ㆍ물적 환경을 정비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는 보호의무를 부담하고, 이러한 보호의무를 위반하여 근로자가 손해를 입었다면 이를 배상할 책임을 진다.

[2] 상법 제64조 에서 5년의 상사시효를 정하는 것은 대량, 정형, 신속이라는 상거래 관계 특성상 법률관계를 신속하게 해결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상인으로서 영업을 위하여 근로자와 체결하는 근로계약이 보조적 상행위에 해당하더라도 사용자가 근로계약에 수반되는 신의칙상의 부수적 의무인 보호의무를 위반하여 근로자에게 손해를 입힘으로써 발생한 근로자의 손해배상청구와 관련된 법률관계는 근로자의 생명, 신체, 건강 침해 등으로 인한 손해의 전보에 관한 것으로서 그 성질상 정형적이고 신속하게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근로계약상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근로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10년의 민사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원고,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재욱)

피고,피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정론 담당변호사 이희정 외 1인)

환송판결

대법원 2018. 1. 24. 선고 2017다271292 판결

원심판결

인천지법 2018. 8. 9. 선고 2018나51853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인천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사용자는 근로계약에 수반되는 신의칙상의 부수적 의무로서 근로자가 노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명, 신체, 건강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인적ㆍ물적 환경을 정비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는 보호의무를 부담하고, 이러한 보호의무를 위반하여 근로자가 손해를 입었다면 이를 배상할 책임을 진다 ( 대법원 1999. 2. 23. 선고 97다12082 판결 , 대법원 2006. 9. 28. 선고 2004다44506 판결 등 참조). 한편 상법 제64조 에서 5년의 상사시효를 정하는 것은 대량, 정형, 신속이라는 상거래 관계 특성상 법률관계를 신속하게 해결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상인으로서 영업을 위하여 근로자와 체결하는 근로계약이 보조적 상행위에 해당하더라도 사용자가 근로계약에 수반되는 신의칙상의 부수적 의무인 보호의무를 위반하여 근로자에게 손해를 입힘으로써 발생한 근로자의 손해배상청구와 관련된 법률관계는 근로자의 생명, 신체, 건강 침해 등으로 인한 손해의 전보에 관한 것으로서 그 성질상 정형적이고 신속하게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근로계약상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근로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10년의 민사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 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4다22742 판결 등 참조).

2. 가. 원심이 인정한 사실관계는 다음과 같다.

1) 피고는 인천 (주소 생략)에서 ‘○○○○○○상회’라는 상호로 농산물 도매업을 하는 사람으로서 2007. 2. 13.경 원고와 근로계약을 체결하였다.

2) 원고는 2007. 12. 14. 13:00경 피고의 사업장에서 양배추를 팰릿 위에 쌓던 중 미끄러지면서 원고의 오른쪽 발목이 팰릿 깨진 부분에 끼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원고는 우측 후경골건염 및 부분파열 등의 상해를 입었다.

3) 원고는 2008. 1. 4.과 2008. 8. 18. 위 상해에 대한 수술을 받았고, 2008. 10. 10.경 근로복지공단에 요양급여신청을 하였다. 원고는 2011. 10. 26.경 위 상해에 따른 피부 손상으로 피부이식술을 받았는데 그 이후 ‘우측 비골신경 손상’이 발생하였고, 이를 이유로 근로복지공단에 추가상병신청서를 제출하여 승인처분을 받았다.

나. 이러한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고의 근로계약상 보호의무 위반을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청구권은 10년의 민사시효가 적용됨이 타당하다. 그런데도 원심은 원고와 피고 사이 근로계약이 보조적 상행위라는 이유로 원고의 위 손해배상청구권에도 5년의 상사시효가 적용되어 소멸시효기간이 도과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근로계약상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ㆍ판단하게 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기택(재판장) 박정화 김선수(주심) 노태악

arrow

평석

- 사용자의 근로계약상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근로자의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하여 10년의 민사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되는지 여부 @ 손해배상산 전지원 서울고등법원 판례공보스터디

- 근로계약상 사용자의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근로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 대법원 2021 8 19 선고 2018다270876 판결 노호창 韓國勞動法學會

- 2021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⑪ 상법 주식 양도의무와 독립적으로 경영권 양도의무 인정 어려워 회사가 차입금으로 자기주식 취득 배당가능이익 요건 위반 안돼 김홍기 法律新聞社

관련문헌

- 황재호 보험계약 무효로 인한 보험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적용되는 소멸시효기간 : 대법원 2021. 7. 22. 선고 2019다277812 전원합의체 판결 자율과 공정: (2022) 김재형 대법관 재임기념 논문집. I / 사법발전재단 2022

- 고수현 프랜차이즈 사업관계에서의 ‘사용자’ 판단 실천적 노동법의 길: 박수근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 관악사 2022

- 황재호 보험계약 무효로 인한 보험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에 적용되는 소멸시효기간 사법 58호 / 사법발전재단 2021

- 김남철 2021년 채권법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제505호 / 대한변호사협회 2022

- 김명숙 2021년 민법총칙, 물권법 판례 평석 안암법학 통권 제64호 / 무지개출판사 2022

- 전지원 사용자의 근로계약상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근로자의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하여 10년의 민사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되는지 여부 판례공보스터디 민사판례해설. Ⅲ-상: 2021. 7. 1.자 공보 ~ 2021. 12. 15.자. 공보 / 서울고등법원 판례공보스터디 2022

- 박수영 상법총칙・상행위・보험편 2021년 대법원 주요 판례 회고 상사판례연구 35집 1권 / 한국상사판례학회 2021

- 노호창 근로계약상 사용자의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근로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 대법원 2021. 8. 19. 선고 2018다270876 판결 노동법학 통권82호 / 한국노동법학회 2022

- 권영준 2021년 민법 판례 동향 민사재판의 제문제 29권 / 한국사법행정학회 2022

참조판례

- [1] 대법원 1999. 2. 23. 선고 97다12082 판결

- 대법원 2006. 9. 28. 선고 2004다44506 판결

- [2] 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4다22742 판결

참조조문

- [1] 민법 제2조 위헌조문 표시

- 민법 제390조

- 민법 제655조

- [2] 민법 제2조 위헌조문 표시

- 민법 제162조 제1항 위헌조문 표시

- 민법 제390조

- 민법 제655조

- 상법 제47조

- 상법 제64조 위헌조문 표시

본문참조판례

대법원 1999. 2. 23. 선고 97다12082 판결

대법원 2006. 9. 28. 선고 2004다44506 판결

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4다22742 판결

본문참조조문

- 상법 제64조

원심판결

- 대법원 2018. 1. 24. 선고 2017다271292 판결

- 인천지법 2018. 8. 9. 선고 2018나51853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