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전지방법원 2018.09.19 2017가합1657
관리인지위부존재확인
주문

1. E를 피고의 관리인으로 선임한 2016. 4. 14.자 피고의 관리단집회 결의는 무효임을 확인한다.

2...

이유

기초 사실 당사자들의 지위 원고 A은 대전 유성구 F 소재 C 상가(이하 ‘이 사건 상가’라고 한다)의 4층 G호의 139,304분의 4 지분을 소유한 구분소유자이고, 원고 B은 이 사건 상가 4층 H호의 소유자이다.

피고는 이 사건 상가와 그 부속시설의 유지보수, 관리비ㆍ수선충당금의 부과ㆍ징수 등의 사업을 단체로, 대외적으로 ‘C 상가관리단’, ‘C 총운영위원회’, ‘C 관리위원회’ 등의 명칭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피고의 대표자 선임, 직무대행자의 선임 및 해임 피고는 2014. 2. 6. 임시위원회에서 I을 피고의 대표자인 회장으로 선임하는 결의를 하였는데, 이 사건 상가의 입점자들인 J, K, L은 대전지방법원 2014카합251호로 I을 상대로 직무집행정지 및 직무대행자 선임 가처분신청을 하였고, 위 법원은 2014. 9. 29. I의 직무집행을 정지하고 변호사 M을 직무대행자로 선임하는 가처분 결정을 하였다.

그 후 위 가처분신청 사건의 2015. 4. 27.자 결정으로 변호사 N이 피고의 직무대행자로 개임되었으나, 위 직무대행자는 대전지방법원이 피고에 발령한 보수 예납 명령이 제대로 준수되지 아니하는 등의 이유로 위 사건 2015. 7. 28.자 결정으로 직무대행자 직에서 해임되었다.

2015. 7. 31.자 임시총회의 결의 및 관련 사건의 경과 피고는 2015. 7. 30. ‘2015. 7. 31. 20:40 상가 관리단(피고) 대표 직무대행자 선임의 건’ 등을 안건으로 하는 공고를 하였고, 위 공고에 따라 개최된 2015. 7. 31.자 임시총회에서 E가 피고의 대표자 직무대행자로 선임되었다.

그러자 원고는 2015. 9. 1. 대전지방법원 2015카합234호로 E를 상대로 직무집행정지 및 직무대행자 선임 가처분신청을 하였고, 위 법원은 2015. 9. 24. '2015. 7. 31.자 임시총회 당시 직무대행자가 부재하였으므로, 피고는 법원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