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05.11 2017나15286
소유권확인
주문

1. 원고들의 항소와 당심에서 추가한 예비적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항소제기 이후의...

이유

1. 기초사실

가. 일제 강점기의 조선임야조사령에 의하여 작성된 임야조사부에는 피고(國)가 이 사건 임야를 사정받은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나. 이 사건 임야에 관한 지적공부는 6.25 사변으로 멸실된 후 1963. 12. 9.경 지적복구되었고, 지적 복구된 임야대장의 소유자란에 1965. 5. 11. 소유자복구를 원인으로 F의 이름이 기재되었다.

다. 위 임야대장의 공유지연명부의 소유자란에는 1991. 10. 8. 명의 변경을 원인으로 원고들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라.

이 사건 임야는 현재 등기부상 미등기 상태이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3, 4호증(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들의 주위적 청구원인에 관한 판단

가. 원고들의 주장 원고들은 이 사건 임야에 관한 토지대장의 공유자연명부에 소유자로 등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전 소유자인 F의 조카들로서 F으로부터 이 사건 토지의 각 1/4지분을 상속하였으므로 이 사건 임야가 원고들의 소유라는 확인을 구한다.

나. 법리 (1) 토지조사부나 임야조사부에 소유자로 등재된 자는 재결에 의하여 사정 내용이 변경되었다는 등의 반증이 없는 이상 토지의 소유자로 사정받고 그 사정이 확정된 것으로 추정되며, 토지의 사정을 받은 자는 그 토지를 원시적으로 취득한다

(대법원 1984. 1. 24. 선고 83다카1152 판결, 1986. 6. 10. 선고 84다카1773 전원합의체 판결, 1996. 7. 30. 선고 96다17127, 17134 판결 등 참조). (2) 1975. 12. 31. 전부 개정된 지적법이 시행되기 이전에 소관청이 아무런 법적 근거 없이 과세의 편의상 임의로 복구한 토지대장이나 임야대장에 소유자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기재에는 권리추정력을 인정할 수 없고(대법원 1992. 1. 21. 선고 91다6399 판결 등 참조), 또한 개정 지적법...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