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6.07.29 2014도4850
폐기물관리법위반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 이유( 상고 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 이유 보충서 등의 기재는 상고 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 )를 판단한다.

폐기물 관리법 제 2조 제 1호는 ‘ 폐기물 ’이란 쓰레기, 연 소재, 오니, 폐유, 폐 산, 폐 알칼리 및 동물의 사체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폐기물의 배출을 엄격히 규제하여 환경보전과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려는 폐기물 관리법의 취지와 폐기물에 관한 위 정의 규정을 비롯한 폐기물 관리법 규정들의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쓰레기, 연 소재, 오니, 폐유, 폐 산, 폐 알칼리, 동물의 사체 등의 물질이 당해 사업장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이상 그 물질은 폐기물 관리법에서 말하는 폐기물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하고, 당해 사업장에서 폐기된 물질이 재활용 원료로 공급된다고 해서 폐기물로서의 성질을 상실한다고 볼 것은 아니다( 대법원 2001. 6. 1. 선고 2001도70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E 회사 주식회사( 이하 ‘E 회사 ’라고 한다) 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 스펀지는 위 생산과정의 부산물로서 이를 재활용할 설비가 없는 E 회사의 생산활동에는 필요가 없는 물질이고, E 회사가 이를 피고인에게 유상으로 매도하는 것이 E 회사의 사업활동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이 사건 잔여 스펀지는 E 회사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않게 된 폐기물에 해당된다고 보아 이 사건 공소사실이 유죄로 인정된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