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부산고등법원 2019.01.10 2018나51259
공유물분할
주문

1. 피고 D, E, F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피고 D, E, F이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이유

1. 제1심판결의 인용 이 법원의 판결이유는, 이 법원에서 추가로 제출된 증거로서 피고 D, E, F의 주장을 인정하기에 부족한 을 제10 내지 12호증의 각 기재를 배척하고, 제1심판결 중 일부를 아래 ‘2. 고치거나 추가하는 부분’과 같이 고쳐 쓰거나 일부 설시를 추가하는 외에는 제1심판결의 이유와 같으므로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2. 고치거나 추가하는 부분 제1심판결문 제3면 맨 마지막줄 다음에 아래 기재를 추가한다.

『망 B은 2018. 8. 28. 사망하였고, 피고 J가 망 B의 상속재산을 단독상속하여 이 사건 소송을 수계하였다.』 제1심판결문 제4면 제1행 이하의 “한편 피고 D, E는 부산지방법원 2015가합3290호로 원고를 상대로 원고의 이 사건 건물 관리기간 동안 이 사건 건물에 관하여 발생한 차임 수익 등에 관한 부당이득금반환 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위 사건이 진행 중이고” 부분을 아래 기재와 같이 고친다.

『한편 피고 D, E, F은 원고를 상대로 원고의 이 사건 건물 관리기간 동안 이 사건 건물에 관하여 발생한 차임 수익 등에 관한 부당이득금반환 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원고는 피고 D에게 216,435,208원, 피고 E에게 302,399,024원, 피고 F에게 268,347,916원을 각 지급하라’는 내용의 항소심 판결을 선고받아 그대로 확정되었고[ 피고 D, E: 부산고등법원 2018. 11. 29. 선고 2018나54067(본소), 2018나54074(반소) 판결, 피고 F: 부산고등법원 2018. 11. 29. 선고 2018나54050 판결]』 제1심판결문 제4면 제7행의 【인정근거】란에 아래 기재를 추가한다.

『을 제11호증의 기재, 이 법원에 현저한 사실』 제1심판결문 제7면 제7행 이하의 "피고 D, E, F은 이 사건 부동산의 각 원고 지분에 관하여 피고들에게 그 공유지분 비율대로 지분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