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남부지방법원 2014.03.28 2013노2049
도로교통법위반(사고후미조치)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사실오인 피고인은 피고인의 차량으로 피해자의 차량을 충돌한 직후 10m 정도 차량을 이동하여 정차한 후 시동을 끄고 사고발생에 대한 조치를 취하려고 하였는데, 피해차량의 운전사와 그 일행이 다가와 욕설을 하면서 발로 피고인의 차량을 툭툭 차거나 손바닥으로 유리창을 내려치기에 겁을 먹고 피고인의 차량을 운전하여 근처에 있던 피고인의 집으로 가게 된 것이지, 처음부터 도주할 의사로 현장을 벗어난 것은 아니다.

나. 양형부당 원심이 선고한 형(벌금 300만 원)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사실오인 주장에 관한 판단 1)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은 차의 운전 등 교통으로 인하여 사람을 사상하거나 물건을 손괴한 때에는 그 차의 운전자나 그 밖의 승무원은 즉시 정차하여 사상자를 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위와 같은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취지는 도로에서 일어나는 교통상의 위험과 장해를 방지ㆍ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해자의 피해를 회복시켜 주기 위한 것은 아니고, 이 경우 운전자가 취하여야 할 조치는 사고의 내용과 피해의 정도 등 구체적 상황에 따라 적절히 강구되어야 하고 그 정도는 건전한 양식에 비추어 통상 요구되는 정도의 조치를 말한다(대법원 2009. 5. 14. 선고 2009도787판결 등 참조). 그러한 조치에는 피해자나 경찰관 등 교통사고와 관계있는 사람에게 사고운전자의 신원을 밝히는 것도 포함된다(대법원 2003. 3. 25. 선고 2002도5748 판결 등 참조 .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면, 피고인은 이 사건 교통사고 직전 교차로에서 신호대기를 하는 사이에 차량 운전석에서 잠이 들었고, 그곳...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