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4.12.24 2014나2021807
채무부존재확인
주문

1. 제1심 판결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가.

2013. 5. 19. E요양원에서 발생한 망 F의 사고와...

이유

본소와 반소를 함께 본다.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부천시 원미구 G건물 505호 E요양원(이하 ‘이 사건 요양원’이라 한다)을 관리ㆍ운영하는 사람이다.

나. 망 F(이하 ‘망인’이라 한다)는 치매증세로 2006. 3. 6.부터 서울 은평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2013. 5. 3.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장기요양등급 3등급을 부여받고 시설급여 대상자가 된 사람으로, 2013. 4. 17. 며느리인 H이 대리인으로서 원고와 체결한 장기요양서비스 제공ㆍ이용계약(이하 ‘이 사건 계약’이라 한다)에 따라 같은 날부터 이 사건 요양원에 입소하여 생활하였다.

다. 망인은 2013. 5. 19. 11:30경 점심식사를 하던 중 기도폐쇄로 인한 호흡곤란 등 증상이 발생하여(이하 ‘이 사건 사고’라 한다) 11:43경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응급실로 후송되었으나 16:30경 사망하였다. 라.

망인의 상속인으로는 처인 피고 B, 자녀인 피고 C, D이 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2, 3호증, 을 제1, 2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당사자들의 주장 및 판단

가. 당사자들의 주장 1) 원고는 망인에게 음식을 제공함에 있어 믹서기로 갈아 죽으로 만들어 제공하였고, 망인이 식사하는 동안 간호사가 지켜보고 있는 등 원고는 그 주의의무를 다하였고, 원고가 제공한 음식물과 망인의 사망 사이에 인과관계도 없다고 할 것이므로, 망인의 사망과 관련하여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손해배상채무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본소로써 그 부존재확인을 구한다. 2) 이에 대하여 피고들은 원고는 망인에게 소화가 쉽지 않은 음식들을 제공하면서 별다른 관리없이 혼자 식사하도록 하였고, 식사 도중 원고가 제공한 음식물로 인한 기도폐쇄로 사망하였으므로, 원고는 피고들에게 손해를 배상할...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