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1.27 2015나42888
자동차소유권이전등록절차이행청구등
주문

1. 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심에서의 확장된 청구에 따라, 피고는 원고에게 783,214원 및...

이유

1. 인정사실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자인 원고는 2006. 7. 23. 이 사건 자동차의 소유 명의를 원고 앞으로 등록하되, 원고는 피고에게 이 사건 자동차에 대한 화물운송사업의 운영관리권을 위탁하고 피고는 원고에게 그에 따른 위탁 관리료 등을 납부하기로 하는 위수탁관리계약(아래에서는 ‘이 사건 관리계약’이라고 한다)을 체결하였다.

이 사건 관리계약은 최초 위수탁 관리기간을 2년으로 정한 뒤 계속하여 갱신되어 왔는데, 피고는 2014년 1월경부터 매월 납부하기로 한 위탁 관리료 187,000원(= 관리료 17만 원 부가가치세 17,000원)을 납부하지 않기 시작하였고, 2014년 9월경까지의 미납 관리료는 1,785,000원에 이르렀다.

그 후에도 피고가 관리료를 계속하여 미납하였는데, 2015년 1월경까지의 미납 관리료 합계액은 2,465,000원이었다

(원고는 2014년 10월분 관리료부터는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관리료 17만 원만 청구하고 있다). 한편, 이 사건 관리계약 제17조(해약) 제2항 제1호는 피고가 위탁 관리료 등의 부담을 3개월 이상 체납하였을 때 원고가 해약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고, 이 사건 관리계약을 해지한다는 의사표시가 기재된 이 사건 소장 부본은 2015. 2. 17. 피고에게 송달되었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1 내지 7, 변론 전체의 취지

2. 판 단 위와 같이 원고가 피고의 관리료 연체 등을 이유로 이 사건 관리계약을 해지하고, 그 해지 의사표시가 2015. 2. 17. 피고에게 송달됨으로써 이 사건 관리계약은 그 무렵 적법하게 해지되었다.

따라서 피고는 원고 앞으로 등록된 이 사건 자동차의 소유 명의를 인수해야 하고, 이 사건 관리계약이 해지될 때까지 미납한 관리료를 원고에게 지급해야 한다.

피고의 미납 관리료를 계산하면 2,568,214원 = 2015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