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북부지방법원 2020.09.16 2019나34228
건물
주문

본소에 관한 피고(반소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원고(반소피고)는 피고(반소원고)에게 4,500...

이유

본소와 반소를 통틀어 본다.

1. 인정사실

가. 피고는 2011. 2. 14. C으로부터 이 사건 점포를 임대차보증금 1,500만 원, 월차임 60만 원(부가가치세 별도), 임대차기간 2011. 3. 21.부터 2013. 3. 20.까지로 정하여 임차하는 계약(이하 ‘이 사건 임대차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여, 위 점포에서 ‘E’라는 상호로 부동산중개업을 영위하기 시작하였고, 위 계약은 묵시적으로 갱신되었다.

나. 원고는 2014. 3. 17.경 C으로부터 이 사건 점포를 매수하면서 이 사건 임대차계약을 승계하였는데, 2015. 10. 7. 피고에게 내용증명으로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갱신을 거절하는 의사표시를 하였다.

다. 피고는 이 사건 점포를 위한 신규임차인을 물색하여, 2016. 1. 18. D와 사이에 위 점포에 관한 권리금을 18,000,000원으로 하는 권리금 계약(이하 ‘이 사건 권리금 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는데, 위 권리금 계약에는 특약사항으로 ‘부동산중개업의 허가가 불가한 경우 위 계약을 무효로 한다’는 내용과 ‘부동산 상호 및 전화번호는 양도인이 사용하며, 동일 상권 내 동종의 개업에 대해 양수인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있었다. 라.

피고는 2016. 1. 19. 원고에게 이 사건 권리금 계약의 계약서를 첨부하여 D와 2016. 2. 20.까지 임대차계약을 체결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원고는 이에 응답하지 아니하다가, 피고에게 2016. 3. 14. 내용증명으로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종기인 2016. 3. 20.까지 이 사건 점포를 명도할 것을 요구하고, 같은 달 19. 문자메시지로 재차 명도를 요구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2호증, 을 제2, 3, 4호증(가지번호 있는 것은 각 가지번호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본소 청구에 관한 판단

가. 청구원인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