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9.11.20 2019나52041
소유권이전등기
주문

1. 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3. 제1심판결의 주문 제1항의...

이유

1. 인정사실

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임시토지조사국에서 작성된 토지조사부에는 1912년(명치 45년) 경기 여주군 E 전 1,859평(이하 위 토지에서 분할 된 토지를 표시함에 있어 ‘경기 여주군 I면’의 기재를 생략하고 지번과 면적으로 특정한다)의 소유자로 망 D이 기재되어 있고, 피고는 망 D의 아들이다.

위 E 토지는 F 내지 G 토지 등으로 분할 또는 순차 분할되면서 지목 변경, 면적단위 환산과 행정구역 변경 등을 거치게 되었다.

나. 원고의 부친인 망 H(이하 ‘망인’이라 한다)은 J으로부터 1946. 1. 16. F 112평(370㎡), K 455평 토지를 매수하는 매매계약서(이하 ‘이 사건 매매계약서’라 한다)를 작성하였다.

다. K 455평은 K 122평(403㎡), L 333평으로 분할되었고, 이후 L 333평에서 C 279평(922㎡, 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이 분할되어 지번이 부여되었고, 이후 지적공부 정리과정에서 L 120평(397㎡)으로 정정되었다

[다만 K, L, C의 면적 합계가 521평(122평 120평 279평)으로 분할 전 K 면적인 455평을 초과하는데, 이는 과거 지적측량시 오차로 인해 토지 면적에 변동이 발생하였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라.

망인은 이 사건 토지 지상에 주택을 건축하여 그 주택에 거주하였고, 위 주택의 존재가 1969년경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확인된다.

마. 원고는 망인이 1975. 1. 30. 사망한 이후 상속에 기하여 F 370㎡, L 397㎡, 이 사건 토지와 그 지상주택에 대한 점유를 계속하였고, F 370㎡에 관하여는 1981. 8. 20. 부동산 소유권 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기하여 원고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으며, L 397㎡에 관하여는 1994. 1. 27. 1975. 1. 30.자 협의분할에 의한 재산상속을 원인으로 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고(이후 L 397㎡은 F 767㎡로 합병되었다), 이...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