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구지방법원 2019.11.27 2019노2566
사문서위조등
주문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제출된 증거들에 의하면 피고인이 피위조자 D으로부터 보험료가 부과되지 않는 보험의 가입에 대해서만 동의받았을 뿐임에도 보험료가 있는 이 사건 각 보험 가입에 대하여 묵시적으로 승낙 또는 위임받았다고 인정하고 이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거나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판단

가. 원심의 판단 원심은 ① 피고인이 이 사건 각 보험 가입 청약서를 작성하기 전에 D에게 D의 명의로 이 사건 각 보험에 가입하겠다는 취지의 말을 하였고, D은 이 사건 각 보험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듣지 못하였으나, 이에 대하여 승낙의 의사표시를 한 점, ② D은 이 사건 각 보험 가입 청약서가 서울 본사의 체결부스 담당자에게 송부된 이후, 본사의 콜센터로부터 이 사건 각 보험의 가입 여부 확인 전화를 받고, 정상적으로 이 사건 각 보험에 가입하였다고 답변한 점 등을 종합하면, 피고인은 D이 이 사건 각 보험 가입 청약서 작성에 대하여 묵시적으로 승낙 또는 위임한 것으로 생각하고 이 사건 각 보험 가입 청약서를 작성한 것으로 보이며,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이 사건 각 보험 가입 청약서를 위조한다는 고의를 가지고 있었다고 보기 부족하다고 판단하였다.

나. 당심의 판단 문서의 위조는 작성권한 없는 자가 타인 명의를 모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므로, 사문서를 작성함에 있어 그 명의자의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승낙 또는 위임이 있었다면 사문서위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특히 문서명의인이 문서작성자에게 사전에 문서 작성과 관련한 사무처리의 권한을 포괄적으로 위임함으로써 문서작성자가 위임된 권한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