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2021.01.29 2020가합100320
약정금
주문

1. 피고들은 연대하여, 원고 A에게 15,562,426원, 원고 주식회사 B에게 44,464,076원, 원고 주식회사...

이유

기초 사실 피고들을 포함한 17 인은 부천시 V 외 4 필지에 W 아파트를 신축하여 분양하는 사업( 이하 ‘ 이 사건 사업’ 이라 한다) 을 하기로 하고, 위 아파트 신축공사( 이하 ‘ 이 사건 공사’ 라 한다 )에 관하여 주식회사 X( 이하 X‘ 이라 한다) 과 도급계약을 체결하였다.

피고 T은 이 사건 사업을 위한 조합( 이하 ’ 이 사건 조합‘ 이라 한다) 의 전임 대표자였다가 2019. 4. 12. 사임하였고, 이후 피고 U이 위 조합의 대표자로 선정되었다.

X은 주식회사 Y( 이하 ‘Y’ 이라 한다) 과 이 사건 공사에 관한 하도급계약을 체결하였고, Y은 원고들을 포함한 공사업자들에게 이 사건 공사를 공 종별로 재 하도급하였다.

원고들을 포함한 이 사건 공사 재하수급 인들은 공사대금을 지급 받지 못하여 이 사건 공사현장에서 유치권을 행사하려고 하였으나, 이 사건 조합에 2018년 11 월경 내지 12 월경 유치권 포기 및 현장( 건물) 양도 각서를 작성하여 주었다.

이 사건 조합, X, Y, 원고들을 포함한 이 사건 공사 재하수급인들( 이하 ‘ 원고들 등 채권단’ 이라 한다) 은 2019. 1. 31. 이 사건 조합과 X이 610,000,000원의 범위 내에서 원고들 등 채권단에게 공사대금 등을 직접 지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약정을 하고, 아래와 같은 내용의 ‘ 공사대금 직접지급 합의서 ’를 작성하였다.

위 합의 당시 이 사건 조합의 대표자였던

T은 이 사건 조합의 위 합의에 기한 채무를 연대보증하였다( 이하 공사대금 직접지급 합의서 공사 명: 이 사건 공사 발주자: T 외 16( 대표자 T) 위 공사와 관련하여 발주자, 수급인, 하수급 인, 재하수급 인 간에 각 공사계약에 의하여 각 발생한 공사대금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직접 지급에 이의 없이 합의한다.

하수급 인이 각 시공한 분에 대하여, 수급인은 하수급 인에...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