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7.10.19 2016가단5197222
소유권말소등기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기초사실 다음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거나, 갑제1 내지 4호증(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 이 법원의 이천시에 대한 사실조회결과 및 변론전체의 취지를 종합하여 인정할 수 있다. 가.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토지조사부에는 경기 양평군 D 전 838평의 소유자가 이천군 E리(E里)에 주소를 둔 F으로 기재되어 있다.

위 G면은 이후 행정구역명칭변경을 통하여 H면이 되었다.

나. 원고는 1998. 12. 10. 사망한 I의 장남이고, 망 I는 1979. 12. 3. 사망한 J의 아들이며, 망 J는 1935. 12. 31. 사망한 K의 장남인데, 위 K은 본적지인 이천시 L에서 사망하였다.

다. 이천시 소재 M면과 N면은 1913년 O면이 되었는데, P리는 본래 이천군 N면에 있던 지역으로 Q 또는 R동이라고도 불리었다. 라.

피고는 경기 양평군 B 전 1200m2에 관하여 수원지방법원 양평등기소 1995. 12. 12. 접수 제23837호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치고, C 도로 367m2에 관하여 수원지방법원 양평등기소 1996. 12. 5. 접수 제28982호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

2. 주장 및 판단

가. 원고의 주장 피고가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친 경기 양평군 B 전 1200m2와 C 도로 367m2는 모두 경기 양평군 D 전 838평에서 분할된 토지들인데(이하 위 B 토지와 C 토지를 ‘이 사건 토지들’이라고 한다), 일제강점기의 토지조사사업에서 분할 전의 위 D 토지를 사정받은 F은 원고의 선조인 K과 동일인으로, 분할 전의 위 D 토지는 K의 소유이었다.

그런데 위 K 및 그 상속인들인 J, I 등이 사망함에 따라 원고는 공동상속인 중의 1인이 되었고, 결국 분할 전의 위 D 토지에서 분할된 이 사건 토지들의 공유자 중의 1인이 되었다.

그런데 피고는 아무런 권원 없이 이 사건 토지들에 관하여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고, 피고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