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지방법원목포지원 2014.10.16 2014가합777
건물명도
주문

1. 피고(반소원고)는 원고(반소피고)에게,

가. 17,050,000원과 이에 대하여 2013. 8. 30.부터 2014. 4. 7...

이유

본소와 반소를 함께 본다.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전남 무안군 C, D 지상에 지하 1층, 지상 5층 집합건물(이하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을 신축하여 2012. 1. 31. 그 중 2분의 1 지분에 관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

(나머지 2분의 1 지분의 소유자는 E이다). 나.

원고와 E는 피고 등과 사이에, <표1> 기재와 같이 이 사건 건물 중 303, 403, 503호를 피고 등에게 분양하는 계약(이하 ‘이 사건 분양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고 피고로부터 계약금으로 112,900,000원을 지급받았다.

다만 피고는 이 사건 건물의 준공 후 1년 이내에 잔금을 원고와 E에게 지급하기로 하고 이를 불이행할 경우 원고가 계약금을 몰취하기로 정하였다.

<표1> 호실 수분양자 분양대금 계약금 잔금 계약일 비고 303호 피고, F 435,151,200 46,000,000 364,520,000 2011. 11. 23. 같은 날 임대차계약 체결(<표2>) 403호 피고, G 358,999,740 34,000,000 304,679,000 2011. 11. 8. 503호 피고, H 348,740,000 32,900,000 296,100,000 2011. 8. 11. 1,142,890,940 112,900,000 965,299,000

다. 원고와 E는 피고 등과 사이에 이 사건 건물 중 일부(<표1> 기재 건물 포함)에 관하여 <표2> 기재와 같은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피고로부터 임대차보증금 계약금 20,000,000원과 303호의 보증금 잔금 중 일부로 30,000,000원 피고는 원고에게 이 사건 건물 503호의 임대차보증금 잔금 12,100,000원, 403호의 임대차보증금 잔금 15,000,000원을 추가로 지급하였다고 주장하나, 이에 부합하는 듯한 을 제12, 13호증의 각 기재 및 증인 K의 증언만으로는 피고의 위 주장을 인정하기 부족하므로, 피고의 위 주장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을 지급받았으며, 2012년 2월 초순경 <표2> 기재 각 임대차계약 해당 호실을 피고에게 모두 인도하였다.

<표2> 호실 임차인 다만 피고를 제외한 나머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