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부산지방법원 2016.08.17 2015나10018
담장경계확정
주문

1. 당심에서 교환적으로 변경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인정사실

가. 원고는 1977. 12. 28. 부산 강서구 C 대 347㎡(이하 ‘분할 전의 대상토지’라고 한다)에 관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나. 피고는 1979. 9. 25. 분할 전의 대상토지 중 122/347 지분에 관하여 소유권일부이전등기를 마쳤다.

다. 분할 전의 대상토지 지상에는 1977년경 이전부터 별지 도면 표시의 12, 14, 15, 16, 6의 각 점을 순차로 연결한 선의 담장(이하 ‘이 사건 담장’이라 한다)이 설치되어 있었다.

이 사건 담장을 경계로 하여 그 위쪽에 있는 토지[별지 도면 표시의 2, 3, 4, 5, 16, 15, 14, 13, 2의 각 점을 순차 연결한 선내 (가) 부분 186㎡(이하 ‘㉮ 토지’라 한다

), 같은 도면 표시의 1, 2, 13, 14, 12, 1의 각 점을 순차 연결한 선내 (라) 부분 32㎡(이하 ‘㉱ 토지’라 한다

), 같은 도면 표시의 5, 6, 16, 5의 각 점을 순차 연결한 선내 (마) 부분 5㎡(이하 ‘㉲ 토지’라 한다

)]는 원고가 구분하여 점유하고, 그 아래쪽에 있는 토지[별지 도면 표시의 14, 15, 16, 17, 18, 14의 각 점을 순차 연결한 선내 (나) 부분 4㎡(이하 ‘㉯ 토지’라 한다

), 같은 도면 표시의 12, 14, 18, 17, 16, 6, 7, 8, 9, 10, 11, 12의 각 점을 순차 연결한 선내 (다) 부분 120㎡(이하 ‘㉰ 토지’라 한다

)]는 피고가 구분하여 점유하였다. 라.

분할 전의 대상토지는 D 소유였고, 이 사건 담장을 경계로 하여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그 지상에 각 주택이 건축되어 있었다.

원고와 피고가 각기 그 한 부분씩을 매수하여 점유하게 되었는데, 다만 등기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분필이 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위 가.

항과 같이 먼저 원고 명의로 분할 전의 대상토지 전부에 대하여 소유권이전등기가 된 후, 재차 각기 구분하여 점유하고 있던 면적에 상응하는 지분이전등기가 위 나.

항과 같이 피고 명의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