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
피고인은 무죄.
이유
1.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은 2011. 2. 28. 14:00경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가평군청 근처 노상 차안에서 피해자 D에게 전화하여 “가평군 E 황토송이 버섯공장의 건축허가서를 찾아야 하는데 급하게 돈이 필요해서 그러니 2,000만 원을 보내주면 곧 갚겠다.”라고 거짓말을 하였다.
그러나 사실은 피해자로부터 돈을 빌리더라도 이를 변제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
피고인은 이에 속은 피해자로부터 같은 날 16:35경 피고인 명의의 국민은행계좌로 2,000만 원을 이체 받았다.
이로써 피고인은 피해자를 기망하여 재물을 교부받았다.
2. 판단
가. 사기죄의 주관적 구성요건인 편취의 범의는 피고인이 자백하지 않는 이상 범행 전후의 피고인 등의 재력, 환경, 범행의 경위와 내용, 거래의 이행과정 등과 같은 객관적인 사정 등을 종합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유죄의 인정은 법관으로 하여금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공소사실이 진실한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하는 증명력을 가진 증거에 의하여야 하므로, 그와 같은 증거가 없다면 설령 피고인에게 유죄의 의심이 간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사기죄의 주관적 요소인 범의를 인정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대법원 2005. 10. 14. 선고 2005도12 판결 등 참조). 그리고 차용금의 편취에 의한 사기죄의 성립 여부는 차용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므로, 피고인이 차용 당시에는 변제할 의사와 능력이 있었다면 그 후에 차용금을 변제하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단순한 민사상의 채무불이행에 불과할 뿐 형사상 사기죄가 성립한다고 할 수 없다
(대법원 2008. 2. 14. 선고 2007도10770 판결 등 참조). 나.
이 사건에서 보건대, 이 법정에서 적법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