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북부지방법원 2019.01.24 2018노1592
청소년보호법위반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사실오인 손님으로 들어온 일행 3명에게 주류를 판매한 사실은 인정하나, 청소년임을 알지 못하였다.

E과 D는 이 사건 음식점에 와서 성인 신분증을 제시하고 술을 마신 적이 있었고 피고인은 위 두 사람의 얼굴을 분명히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주류를 제공하였던 것인바(이와 다른 위 두 사람의 진술은 신빙성이 없다), 피고인에게는 청소년에게 주류를 판매한다는 고의가 없었다.

그럼에도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결에는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

나. 양형부당 원심의 형(벌금 50만 원)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사실오인 주장에 대하여 원심 및 당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 즉 ① 이 사건 당일 손님으로 들어온 일행 3명(E, D, I)은 모두 청소년으로, 당시 I은 습득한 1998년생 주민등록증을 소지하고 있다가 이를 제시하였고 E, D는 신분증을 제시하지 못하였던 점, ② 이들 일행은 아르바이트생 J에게 “저희 왔었어요.”, “어제도 와서 신분증 검사를 받았는데 또 확인해야 되냐 ”고 하였고, J의 요청을 받은 피고인이 “어제 온 손님들이 맞다.”고 확인하여 주자 비로소 주류를 제공받게 되었는데, 이 사건 전날에는 이 사건 당일 습득한 주민등록증을 제시했던 I만이 이 사건 음식점을 방문했던 점, ③ I은 구성원을 바꿔가며 여러 명과 이 사건 음식점에 수회 방문하였는데, E, D는 이 사건 당일에 이 사건 음식점을 처음 방문하였거나, 혹은 얼굴을 확실히 식별할 수 있는 가까운 과거에는 방문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은 E, D의 연령확인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았고, 이와 같은 조치를 다하지 않은 이상...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