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13.06.27 2013도3839
사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북부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탄원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법원은 피고인이 빈곤 그 밖의 사유로 변호인을 선임할 수 없는 경우에 피고인의 청구가 있는 때에는 변호인을 선정하여야 한다

(형사소송법 제33조 제2항). 그리고 피고인이 위 사유로 국선변호인 선정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그 사유에 관한 소명자료를 제출하여야 함이 원칙이지만(형사소송규칙 제17조의2 본문), 기록에 의하여 그 사유가 소명되었다고 인정될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형사소송규칙 제17조의2 단서).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원심에서 ‘현재의 가정형편상 개인적으로 사선변호인을 선임하기 어렵다’며 국선변호인 선정청구를 한 사실, 원심은 2013. 2. 28. 제1회 공판기일에 피고인의 위 국선변호인 선정청구를 기각하는 결정을 고지한 후 피고인만 출석한 상태에서 심리를 진행하여 변론을 종결하고 2013. 3. 21.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로 판단한 제1심 판결을 파기하여 징역 10월을 선고하면서 피고인을 법정구속한 사실, 피고인은 위 국선변호인 선정청구 당시 ‘빈곤 그 밖의 사유로 변호인을 선임할 수 없는 경우’에 관한 소명자료를 제출하지는 않았으나, 제1심에서 이미 피고인은 수입이 없는 무직자로서 그 소유의 부동산, 동산, 예금이 없는 반면 금융권에 1,000만 원 상당, 개인에게 500만 원에서 1,000만 원 상당의 채무가 있는 신용불량자이고 다만 보증금 1,000만 원에 월세 30만원인 주거지에서 아들, 딸과 거주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는 증거들이 제출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실관계에 의하면, 피고인의 위 국선변호인 선정청구는 기록상 현재의 가정형편상 개인적으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