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광주지방법원 2019.01.29 2018가단17889
청구이의
주문

1. 피고의 원고에 대한 광주지방법원 2016가단41161호 공사대금 사건의 집행력 있는 2018. 4. 17.자...

이유

1. 기초사실

가. 피고가 원고를 상대로, 광주 광산구 D 소재 건물 및 근린생활시설 신축공사 중 전기 및 통신공사의 공사대금 청구를 제기한 광주지방법원 2016가단41161호 공사대금 사건(이하 ‘이 사건 공사대금 소송’이라고 한다)에서, 2018. 4. 17. 원고와 피고 사이에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조정이 성립되었다

(이하 위 조정을 ‘이 사건 조정’이라고 하고, 이 사건 조정으로 확정된 피고의 원고에 대한 공사대금채권을 ‘이 사건 공사대금채권’이라고 한다). 「원고는 피고에게 30,000,000원을 지급하되, 2018. 5. 31.까지 15,000,000원, 2018. 8. 14.까지 15,000,000원을 분할하여 지급한다. 각 분할지급기일에 분할지급금을 지급하지 아니하는 경우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고, 나머지 미지급금 전액을 지급하되, 기한의 이익 상실일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5%의 비율로 계산한 지연손해금을 가산하여 지급한다.」

나. 그런데 한편, 피고의 채권자 E가 2016. 8. 29. 광주지방법원 2016타채12115호 사건으로, 채무자를 피고, 제3채무자를 원고, 청구금액 10,882,280원으로 하여, 이 사건 공사대금채권에 관하여 채권 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아 2016. 9. 13. 원고에게 송달되어 위 명령이 확정되었다

(이하 ‘제1추심명령’이라고 한다). 다.

그리고, 피고의 채권자 주식회사 F가 2017. 2. 27. 광주지방법원 2017타채2856호 사건으로, 채무자를 피고, 제3채무자를 원고, 청구금액 26,639,056원으로 하여, 이 사건 공사대금채권에 관하여 채권 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아 2017. 3. 2. 원고에게 송달되어 위 명령이 확정되었다

(이하 ‘제2추심명령’이라고 한다). 라.

원고는 피고에게 이 사건 조정에 따라 2018. 7. 2. 금 2,500,000원, 같은 달 10. 금 5,000,000원, 같은 달 26. 금 7,500,000원의 각 공사대금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