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2018.04.20 2017가단116083
채무부존재확인
주문

1. 별지 기재 사고와 관련하여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손해배상채무는 존재하지 아니함을...

이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2017. 10. 22.까지 김포시 C 소재 ‘D’ 앞 도로 부근에서 ‘E공사’(이하 ‘이 사건 공사’)를 시행하였다.

나. 피고 A은 마티즈 승용차(등록번호 F, 최초등록일 2005. 10. 28.)의, 피고 B은 프라이드 승용차(등록번호 G, 최초등록일 2008. 3. 26.)(이하 위 각 차량을 포괄하여 ‘이 사건 자동차’)의 각 소유자이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2 내지 4호증의 각 기재, 갑 제7호증의 1 내지 3의 각 영상

2. 주장 및 판단

가. 당사자들의 주장 1) 원고는 별지 목록 기재와 같은 사고(이하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이 사건 자동차가 손상된 사실이 없으므로,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손해배상채무는 존재하지 않고, 예비적으로 원고에게 손해배상채무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피고들의 과실이 손해의 확대에 기여하였으므로 원고의 과실은 30%를 초과하지 않으며, 피고들이 주장하는 수리내용은 과잉수리에 해당하므로 적정 수리범위 내로 손해액이 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2) 이에 대하여 피고들은 원고가 이 사건 공사 후 관리의무를 소홀히 함에 따라 발생한 단차로 인하여 이 사건 사고가 발생함으로써 피고 A 소유 자동차와 관련하여 수리비 9,196,000원, 수리기간 15일 동안의 휴차료 231,840원, 피고 B 소유 자동차와 관련하여 수리비 11,297,000원, 수리기간 15일 동안의 휴차료 237,600원의 손해가 발생하였으므로, 원고는 피고들에게 위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한다.

나. 판단 금전채무부존재확인소송에 있어서는, 채무자인 원고가 먼저 청구를 특정하여 채무발생원인사실을 부정하는 주장을 하면 채권자인 피고 측에서 그 권리관계의 요건사실에 관하여 주장ㆍ증명책임을 부담한다

대법원 1998. 3. 13. 선고 97다45259 판결...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