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서부지방법원 2020.05.08 2019나33092
추심금
주문

1.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2.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3. 원고는 피고에게 가지급물의...

이유

1. 기초사실 (이 사건 채권가압류 내지 추심명령) 갑제 1, 2, 3호증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원고는 주식회사 C(이하 ‘C’라 한다)를 상대로 청구금액을 22,241,211원, 청구채권을 물품대금 채권으로 하여, C가 피고로부터 하도급받은 서울 강남구 D건물의 전기공사(정확히는 자동제어공사; 이하 ‘이 사건 공사’라 한다) 등을 해주고 지급받을 공사대금 채권에 대하여 2018. 2. 19. 서울서부지방법원 2018카단50321호로 가압류 결정을 받았고(이하 ‘이 사건 가압류결정’이라 한다) 그 결정 정본이 제3채무자인 피고에게 2018. 3. 9. 송달되게 한 다음, C를 상대로 같은 법원 2018가소337028호로 물품대금 청구소송을 제기하여 2018. 4. 20. 이행권고결정을 받아 2018. 5. 19. 확정된 사실, 원고는 위 집행권원에 터잡아 청구금액을 24,197,171원으로 하여 2018. 12. 6.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타채120427호로 위 채권가압류를 본압류로 이전하는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았고(이하 ‘이 사건 추심명령’이라 한다), 그 결정 정본이 피고에게 2018. 12. 10. 송달된 사실이 인정된다.

2. C의 피고에 대한 공사대금 채권의 잔존 여부에 대한 판단

가. 을 제1 내지 6호증(가지번호 포함; 이하 같다)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C는 2016. 9. 1. 피고와 사이에 이 사건 공사를 공사대금 3억 3,000만원(부가가치세 포함), 공사기간 2018. 11. 30.까지로 정하여 하도급받는 내용의 계약(이하 ‘이 사건 하도급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고 이 사건 공사를 시행하다가 2017. 12. 19. 폐업처리되자 2017. 12. 30. 피고에게 “상기 현장을 2017년 12월 30일자로 당현장과 관련된 모든 권리를 포기합니다”라는 내용이 기재된 ‘포기각서’를 작성해 준 사실(을 제3호증), 이에 피고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