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8.06.07 2017구합79592
과징금부과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상장법인인 주식회사 B(이하 ‘B’이라 한다) 주식 406주 및 역시 상장법인인 주식회사 C(이하 ‘C’라 한다) 주식 575주를 보유하고 있던 사람이다.

나. 원고는 2016. 9. 30. 09:25경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B 및 C 주식 전부를 합계 각 252,980,000원 및 79,062,500원에 매도하였다.

다. B은 같은 날 09:29경 ‘B과 독일 제약회사인 D 사이의 항암 신약에 관한 기술수출계약은 B이 D으로부터 위 항암 신약 권리를 반납한다는 통보를 받음으로써 최종 파기되었다’라는 정보(이하 ‘이 사건 정보’라 한다)를 공시하였다. 라.

B과 C의 2016. 9. 29. 종가는 각 620,000원 및 139,500원이었는데, 위 공시 이후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하여 2016. 10. 7. 종가는 각 423,000원 및 91,900원이 되었다.

마. 피고는 2017. 6. 22. 원고에 대하여, 원고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 한다) 제174조 제1항에 정한 미공개중요정보인 이 사건 정보를 C 직원 E, B 직원 F, 그리고 자신의 아들이자 B 직원인 G을 통해 전득하고 이를 위 매도에 이용함으로써 자본시장법 제178조의2 제1항 제1호 가목을 위반하였음을 이유로, 자본시장법 제429조의2에 따라 104,800,000원의 과징금을 부과하였다

(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 【인정근거】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3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1 E은 C 사회공헌팀 소속 직원이었을 뿐 이 사건 정보를 다루는 업무에 관여하지 않았으므로 자본시장법 제174조 제1항 제1호에 정한 ‘그 법인 및 그 법인의 임직원대리인으로서 그 직무와 관련하여 미공개중요정보를 알게 된 자’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E이 이에 해당함을 전제로 한 이 사건 처분은...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