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2018.01.10 2016가합10058
이사선임결의부존재확인청구
주문

1. 원고(반소피고) A는 피고(반소원고)의 주주가 아님을 확인한다.

2. 원고(반소피고) A의...

이유

1. 본소청구

가. 원고들 주장 원고 A는 피고 발행주식 4만주 중 16,000주(40%)를 보유한 주주이고, 원고 B은 D, E, F으로부터 피고 주식 24,000주(60%)를 양수한 실질주주이다.

피고는 주주인 원고들에게 아무런 통지도 하지 아니한 채 2016년 일자불상경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하여 피고 이사로 D, E을 각 선임하는 결의를 하였는데, 이러한 결의는 소집절차상의 하자가 중대하여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하므로 그 부존재확인을 구한다.

나. 판단 피고가 2011. 12. 7. 작성한 주주명부에 원고 A, D가 각 16,000주(그 중 원고 A 명의 주식을 ‘이 사건 주식’이라 한다), G가 4,400주, D의 배우자인 E이 3,600주를 각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등재되어 있는 사실, 원고 B이 같은 날 D, E, F으로부터 피고 주식 16,000주(D), 3,600주(E), 4,400주(F)를 1주당 1만원에 양수하기로 하는 내용의 주식매매계약서(이하 ‘이 사건 계약서’라고 한다)가 작성되어 있는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다.

한편, 갑 제1내지 15호증의 각 기재(가지번호 있는 것은 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① D가 피고를 설립하면서 지인인 원고 A에게 이 사건 주식을 명의신탁하였다가 관련 가처분 사건(이 법원 2016카합23) 답변서를 통하여 위 명의신탁계약 해지를 통보한 사실, ② D가 자금난으로 피고 운영에 어려움을 겪던 중 지인 소개로 원고 B을 전문경영인으로 영입하였고 이후 원고 B의 요구에 따라 투자 유치에 사용하게 할 용도로 이 사건 계약서를 작성해 준 사실을 각 인정할 수 있다.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원고들은 피고 주주로 보기 어렵고, 달리 원고들 주장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

2. 반소청구 앞서 살펴본 것처럼 피고 실제 사주인 D는 지인인 원고 A에게 이 사건...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