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대법원 1955. 1. 21. 선고 4287행상3 판결
[행정처분취소][집1(10)행,009]
Main Issues

Occupancy and use without title and existence of right of association

Summary of Judgment

The possession without the approval of the authorities of the government can not be recognized as a person having the authority to file a lawsuit under the Act on the Disposal of Property Belonging to the State even if it is based on the consent of the legitimate lessee.

[Reference Provisions]

Article 15 of the Act on Asset Disposal for Reversion

Plaintiff-Appellee

Attorney Park Hyun-ok, Counsel for the plaintiff-appellant

Defendant-Appellant

Attorney Choi Jae-sik et al., Counsel for the defendant-appellant

The court below

Seoul High Court Decision 53Do19 delivered on December 19, 1953

Text

The original judgment is reversed and the principal case is remanded to the Seoul High Court.

Reasons

피고대리인 상고이유는 원심판결이유중 「당사자간에 다툼없는 갑 제3 제4 제5호증 각 증의 기재내용에 증인 한상태 손운오, 백문형의 각 증언 급 당사자변론의 전취지를 종합 참작하면 단기 4280년 8월 29일 본건 대지에 존재하였든 건물은 피고로부터 소외 신명수가 임차하여 오든 중 원고는 단기 4284년 3월 10일경 동 소외인으로부터 동 건물 일부에 대한 사용허락을 얻어 양복상을 영위하고 있었으며 단기 4286년 1월 30일 부산국제시장의 화재로 인하여 전시 건물은 소실되고 본건 대지만이 잔존하게 되었고 전시 동의서는 소외 신명수의 의사에 기인하여 작성된 문서인 사실을 인정할 수 있음. 과연 그렇다면 본건 계쟁대지에 대한 연고자는 원고임이 분명함으로 피고가 여사한 연고자를 무시하고 하등 연고관계가 무한 소외 남태복에게 본건 대지를 임대한 처분을 위법이라고 인정하였으나 1, 단기 4280년 8월 29일 당시 본건 대지와 우 대지상에 존재하였던 건물(이것은 단기 4286년 1월 30일 화재로 소실되였음)은 소위 귀속재산이라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나 그리고 우 부동산은 당시 소외 신명수가 피고로부터 임대차계약을 하고 임차하였든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우 판결이유에 의하면 단기 4284년 3월 10일경 원고는 우 소외인 신명수로부터 우 부동산중 건물의 일부에 대한 사용허락을 얻어서 양복상을 영위하였던 사실을 인정하였으나 이것은 우 사용이 무상이냐 유상이냐 분명치 아니하나 명백히 위법행위이며 당연히 무효행위이다. 즉 소위 귀속재산의 임대차계약에 있어서 임차인은 무단히 피고관재당국의 허가없이 이미 임차한 부동산의 일부일지라도 타에 전대할 수 없는 것이다.(이것은 절대로 전대는 귀속재산이니 만큼 허가치 않음) 그런데 우 소외 신명수와 원고간의 전기 건물 일부의 사용대차는 당사자의 변론과 기록을 보드라도 피고의 승락(전술과 여히 승락사실 무함)을 얻지 아니하였든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따라서 우 사용대차는 법률상 위법이며 무효이다. 당시 피고에서 우 사실을 알았다면 당연히 소외 신명수는 기 임대차계약은 일방적으로 무조건으로 해제를 당할 것이다. 그러나 피고는 우 사실을 전연 몰랐으며 한편 우 신명수와 원고는 피고의 부지한 사실을 기화로 자의로 사용임대차하였던 것을 규지할 수 있음. 그런데 원판결은 우 불법사실에 대하여 하등의 반박도 아니하고 차를 정당한 사실임을 인정하고 우 건물이 소실한 후 잔존대지에 대하여 원고는 당연히 연고자라고 판단한 것은 정당한 판단이 아니다. 여사한 판단 및 전기 위법행위를 적법 차 정당한 행위라고 판단하여 심의된 원판결은 위법의 판결이라고 아니할 수 없음 2, 원판결 이유중에는 소외 신명수가 본건 대지에 존재하였던 건물만을 피고로부터 임차하되 기 건물의 일부에 대하여서만 사용허락을 얻어 사용하였다는 사실만 인정하여 우 건물소실후 잔존한 대지에 대한 원고가 당연히 연고자가 된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인정하였으나 갑 제3호증을 보면 명백히 단기 4280년 8월 29일 소외인 신명수는 피고로부터 전기 건물만 아니라 기 건물에 존재한 대지도 합하여 차를 임대차한 사실은 틀림없는 것이다. 그런데 원판결의 이유는 전술과 여히 우 신명수는 우 대지상에 있는 건물만 임차하고 있던 중 단기 4284년 3월 10일경 원고는 우 신명수로부터 우 건물의 일부 사용 대차를 하였다고 할 뿐이며 우 건물에 존재한 대지에 관하여는 언급치 아니하였으며 차에 대하여 규명판단도 아니하고 또 우 대지에 대한 피고로부터의 임차한 사실 또는 원고의 우 신명수로부터 우 대지의 사용대차한 사실의 여부에 관하야 판단도 아니하고 만연 우 건물 소실후 잔존한 대지에 대하여 원고가 연고자라고 판단한 것은 판단일탈 아니면 심리부진의 판결이라고 아니할 수 없음 3, 우 판결이유중에는 「....전시 동의서는 소외 신명수의 의사에 기인하여 작성된 문서인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고 하여 우 동의서를 정당한 문서라고 판단하였으나 차는 위법이다. 즉 원고는 기 주장사실을 인정하고 있는 중국인인 소외 손운오가 소외 신명수로부터 유상으로 단기 4284년 8월경 6개월에 백만원의 임대료를 우 신명수에게 지불하고 임차하였으나 기후 동인(신명수)의 요청으로 임차료를 인상하여 금 2백만원을 추가지불하여(갑 제5호증 소외 손운오의 진술서 참조) 본건 건물과 대지를 임차하였다고 하였음. 이것은 귀속재산의 임대차계약의 위법행위이며 당연히 무효라고 하는 것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우 손운오는 여사한 위법행위를 감행하였음. 우 갑 제5호증의 손운오의 진술서의 기재와 여히 본인(손운오)은 외국인으로서 토지(대)에 대한 임대차할 자격이 없다고 말하고 또 원고의 주장도 역시 소외 손운오는 중국인인 관계로 전시 대지에 대한 임대계약은 할 수 없는 형편이라고 말하였으며 당연히 중국인 손운오는 본건 대지에 대하여서는 하등의 권한이 없는 것을 명백히 자인하면서 한편 우 손운오는 본래부터 숙친한 원고인 이연기에게 본건 대지에 대하여 임대차할 것을 승인하였다고 하는 것은 자가동착의 행위이며 하등의 권한없는 자가 다시 위법행위를 감행한 것이다. 그럼으로 당연히 무효이라고 아니할 수 없음. 그리고 본건 건물이 소실된 이전부터 소외 신명수는 사실상 우건 물에 거주치 않고(소외 손운오에게 임대하는 동시에) 전술과 여히 소외 손운오가 우 건물에 입주하고 있음. 우 입주한 당시 소외 신명수는 벌써 피고와의 임대차계약에 위반하여 해약되는 것이다. 만약 해약이 아니된다고 하드래도 우 건물이 소실한 동시에 우 신명수의 임차권은 소멸되고 본건 대지에 대하여는 하등의 권한이 없음. 그러나 소외 신명수는 벌써 본건 부동산에 대한 임차권이 소멸된 이상 소외 손운오는 중국인만 아니라 잔존대지에 대하여는 하등의 권한이 없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건 대지에 대하여 소외 손운오는 이상 진술한 바와 여히 차에 대한 하등의 권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외 신명수의 의사를 대리하였고 또 소외 신명수가 임치한 인장을 사용하여 신명수의 동의를 자기가 임의로 작성한 문서를 신명수의 의사에 기인하여 작성한 문서처럼 유효하게 판단한 것은 심리부진이 아니면 판단 일탈의 판결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함에 있다.

The court below acknowledged that the non-party new name consent form attached to the plaintiff's application for the lease contract to the site was made based on his own will and, in such a case, it can not be recognized that the plaintiff's claim was the right holder of the original building, but the use was the authority's authorized title based on evidence and records cited by the court below, and that the court below's decision that the non-party new name consent form attached to the plaintiff's application for the lease contract to the building site did not fall under the person holding the right of interest of the authority under the Act on the Disposal of Property for Which the court below accepted that the plaintiff's claim was accepted, and that the non-party new name consent form attached to the non-party new name agreement form attached to the plaintiff's application for the lease contract to the building site was made on March 30, 4286 with the approval of the non-party 1, 4284, and that the use was not a person holding the right of authority under the Act on the Disposal of Property for which the original judgment was accepted as a person holding the right of authority. Accordingly, the appeal is justified.

Justices Kim Byung-ro (Presiding Justice)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