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본 영문본은 리걸엔진의 AI 번역 엔진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영문) 대법원 2019.02.28 2018다283797
분묘굴이
Text

The judgment below is reversed, and the case is remanded to the Daegu District Court.

Reasons

The grounds of appeal are examined.

1. To file a claim for removal of a grave based on the ownership of forest land, the claim shall be filed against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to manage and dispose of the

(see, e.g., Supreme Court Decisions 67Da2073, Dec. 26, 1967; 95Da51182, Sept. 5, 1997). This is intended to prevent the removal of graves by a ruling against a third party who has no right to manage and dispose of the land.

Therefore, the court should examine the existence and details of a grave, as well as who has the right to manage and dispose of a grave.

2. 원심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토지 소유권에 기하여 안동시 D 임야(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 중 원심판결 별지 도면 표시 ㈅ 부분 분묘(이하 ‘이 사건 분묘’라 한다)의 굴이와 ㈅ 부분 토지 인도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According to the evidence adopted by Gap evidence No. 8, etc., although the defendant's father K was buried in the instant grave, the defendant's East L was reported to open the grave on November 2, 201, and completed the excavation of the instant grave at that time, such as the reburial of the instant grave and the burial of remains.

㈅ 부분 토지에는 더 이상 분묘가 존재하지 않고 달리 피고가 ㈅ 부분 토지를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

3. However, the lower court’s determination is difficult to accept in light of the aforementioned legal principles and records.

갑 제8호증에 따르면, 피고의 조부 K의 분묘는 이 사건 토지 중 ㈅ 부분이 아닌 안동시 N에 설치되어 있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not K's grave but K's grave, and it is not confirmed who the management and disposal authority of the grave of this case.

따라서 원심법원으로서는 ㈅ 부분에 있는 이 사건 분묘의 설치 내역과 설치 경위를 밝혀 해당 분묘에 대한 진정한 관리처분권자가 누구인지를 심리해야 한다.

그런데도 원심은 아무런 추가 심리도 하지 않은 채 ㈅ 부분...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