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9.09.27 2019구합66927
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판정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을 포함하여 모두 원고가...

이유

1. 재심판정의 경위

가. 원고는 2002. 5. 15. C 주식회사(이하 ‘C’라 한다) D대리점(이하 ‘이 사건 대리점’이라 한다)을 설립하여 자동차 판매용역계약을 체결한 E E란 자동차 판매대리점주와 자동차 판매용역계약을 체결하고 자동차 판매 및 수금, 채권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자동차 판매원을 말한다.

16여 명을 두고 자동차판매업을 하는 사람이다.

나. 참가인은 전국단위 산업별 노동조합으로 그 산하에 F지회 G노동조합은 전국의 자동차판매 대리점에 근무하는 ‘E’를 조직대상으로 하는 전국단위 노동조합인데,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노동조합 설립신고를 하여 2015. 9. 18. 노동조합설립신고증을 교부받았다가, 2018. 5. 30. 그 조직 형태를 변경하여 B노동조합의 F지회가 되었다. 를 설치하였고, 이 사건 대리점 소속 E 중 2명이 그 조합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다. 참가인은 원고에게 2018. 10. 18.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동조합법’이라 한다)과 같은 법 시행령에 따라 서면으로 단체교섭을 요구하였고, 2018. 10. 22. 교섭 요구 사실을 공고하여 줄 것을 재차 촉구하였으며, 2018. 10. 23.부터 2018. 10. 25. 사이에 2회에 걸쳐 교섭 요구 사실 공고를 요청하는 문자메시지를 보냈고, 2018. 11. 2. 노동조합법에 따른 공고 등 절차를 신속하게 이행할 것을 요청하는 서면을 보냈다. 라.

참가인은 2018. 11. 11.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원고가 정당한 이유 없이 단체교섭을 거부하였다고 주장하며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을 하였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2018. 12. 31. ‘참가인의 조합원인 이 사건 대리점의 E는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에 해당하고, 원고가 참가인의 단체교섭을 거부해태한 것은 정당한 이유가 없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라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