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부산고등법원 2014.02.19 2013노565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절도강간등)등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을 징역 3년에 처한다.

압수된 애플노트북 1대(증 제9호)를...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원심의 형(징역 4년,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명령 80시간, 공개ㆍ고지명령 각 5년)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직권판단 피고인의 자백이 그 피고인에게 불이익한 유일한 증거인 때에는 이를 유죄의 증거로 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보강증거가 없이 피고인의 자백만을 근거로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경우에는 그 자체로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대법원 2007. 11. 29. 선고 2007도7835 판결 등 참조). 그런데, 원심은 원심 판시 범죄일람표 연번 제2항 기재 범행에 관하여 보강증거 없이 피고인의 자백만을 증거로 삼아 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자백의 보강증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3. 결론 따라서 원심판결에는 위와 같은 직권파기사유가 있으므로, 항소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형사소송법 제364조 제2항에 의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변론을 거쳐 다시 다음과 같이 판결한다.

범죄사실

및 증거의 요지 이 법원이 인정하는 범죄사실과 그에 대한 증거의 요지는, 증거의 요지란에 “1. 절도사건 초동조치 보고서(증거기록 118쪽)”를 추가하는 이외에는 모두 원심판결의 각 해당란 기재와 같으므로, 형사소송법 제329조에 따라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법령의 적용

1. 범죄사실에 대한 해당법조 및 형의 선택 형법 제331조 제1항, 제330조(특수절도의 점), 각 형법 제330조(야간주거침입절도의 점), 형법 제342조, 제330조(야간주거침입절도미수의 점), 구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2012. 12. 18. 법률 제1155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3조 제1항, 형법 제330조, 제299조(절도강간의 점, 유기징역형 선택), 형법...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