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수원지방법원 2014.09.01 2014노786
청소년보호법위반
주문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피고인은 단골인 F이 그의 얼굴과 비슷한 성년인 타인의 신분증을 도용하여 F을 성년으로 알고 있었고, 또한 F이 친구라고 함께 온 G도 미성년자로 볼 수 없는 옷차림에 화장을 하고 있어 신분증 검사하지 않았던 것으로서, 피고인은 F과 G을 청소년이라고 생각할 수 없었으므로, 피고인에게는 청소년보호법위반의 고의가 없었다.

따라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원심에는 사실오인 및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2. 판단 피고인은 원심에서도 위와 동일한 주장을 하였고, 이에 대하여 원심은 판결문에 ‘피고인 및 변호인의 주장에 관한 판단’이라는 제목 아래 그 판시와 같은 여러 사정 즉, ① F의 원심 법정에서의 증언 태도, 말투, 외모 및 그 나이 등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당시 그가 청소년으로 보였을 개연성이 충분한 점, ② 그 전에 F이 타인의 신분증을 제시한 적이 있었다는 사정만으로 피고인은 이 사건 당일 F과 함께 온 G에게는 신분증의 제시를 요구하지도 않았던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피고인은 미필적으로나마 이들이 청소년인 사실을 인식하면서도 술을 판매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다.

청소년보호법의 입법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청소년유해약물인 주류를 판매하는 업주에게는 청소년의 보호를 위하여 청소년에게 주류를 판매해서는 아니 될 매우 엄중한 책임이 부여되어 있다

할 것이므로, 객관적으로 보아 청소년으로 의심하기 어려운 사정이 없는 한 청소년일 개연성이 있는 연령대의 상대방에 대하여는 주민등록증이나 이에 유사한 정도로 연령에 관한 공적 증명력이 있는 증거에 의하여 대상자의 연령을 확인하여야 할 의무를 지는 것이고, 이러한 연령확인의무에 위배하여...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