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21.02.17 2020구단79946
자동차운전면허취소처분취소
주문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처분의 경위

원고는 2020. 8. 10. 00:59 경 서울 송파구 B 앞 도로에서 혈 중 알코올 농도 0.150% 의 술에 취한 상태로 C 렉 서스 승용차량을 운전하였다( 이하 ‘ 이 사건 음주 운전’ 이라 한다). 피고는 2020. 9. 1. 원고에게 이 사건 음주 운전을 이유로 원고의 자동차 운전면허( 제 2 종 보통 )를 취소하는 처분을 하였다( 이하 ‘ 이 사건 처분’ 이라 한다). 원고는 이 사건 처분에 불복하여 2020. 10. 8. 중앙행정 심판 위원회에 행정 심판을 청구하였으나 2020. 11. 6. 기각되었다.

[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 1, 2호 증, 을 제 1 내지 7호 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원고의 주장 원고가 대리기사를 호출하여 배치가 되었고 음주 운전을 할 의사가 없었던 점, 발 렛 주차장 담당자가 원고의 차량을 주차장 출구에 세워 놓아 다른 차량의 교통에 방해가 될 것 같아서 이 사건 음주 운전을 한 점, 이 사건 음주 운전 거리가 10cm에 불과 한 점, 원고가 회사원으로서 출장 등을 위하여 자동차 운전면허가 필요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이 사건 처분은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 ㆍ 남용한 것으로서 위법하다.

판단

오늘날 자동차가 급증하고 자동차 운전면허도 대량으로 발급되어 교통상황이 날로 혼잡하여 감에 따라 교통 법규를 엄격히 지켜야 할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주취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역시 빈번하고 그 결과가 참혹한 경우가 많아 주취운전을 엄격하게 단속하여야 할 필요가 절실하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자동차 운전면허 취소처분으로 교통사고를 야기하지 않은 주취운전자가 입게 되는 불이익보다는 공익목적의 실현이라는 필요가 더욱 크다( 대법원 1996. 10. 11. 선고 96누10812 판결 참조). 앞서 든 증거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여 인정할 수 있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