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법원 2005.5.27.선고 2004다50303 판결
중여물반환
사건

2004다50303 중여물반환

원고,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성한

피고,피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2004. 8. 11. 선고 200346089 판결

판결선고

2005. 5. 27 .

주문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대구고등법원에 환송한다 .

이 유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중거를 종합하여, 피고는 2002. 4. 6 .

원고의 딸인 소외인과 맞선을 보고 같은 해 5. 12. 결혼식을 올렸는데, 소외인의 사정상 당분간 소외인은 대구에, 피고는 서울에 거주하면서 주말에 함께 지내기로 한 사실 , 원고는 서울에 살림집을 마련해 주기로 하여 2002. 4. 24. 부터 5. 6. 까지 사이에 피고에게 전세금 1억 1천만원을 지급하였고, 피고는 같은 해 5. 9. 위 금원으로 서울 마포구 소재 아파트를 임차하여 피고 명의로 전세권설정등기를 경료한 사실, 소외인은 임신을 하였으나 2002. 7. 4. 자연유산을 하게 된 사실, 피고는 소외인과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불화가 계속되자 2002. 11. 14. 원고를 방문하여 그동안 소외인이 잘못한 점들을 지적하면서 불만을 토로하였고, 같은 해 12. 3. 에는 소외인에게 사실혼관계의 파기를 통보한 사실을 인정한 후, 이 사건 전세금의 지급 당시 원고는 그 중 1 / 2 부분은 소외인에게, 나머지 1 / 2 부분은 피고에게 중여할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고 해석함이 상당하고, 피고 또한 원고가 적어도 이 사건 전세금의 1 / 2 부분은 소외인에게 증여한다는 의사를 가지고 있음을 알고 이를 수용하면서 위 금원을 수령하였다고 해석함이 상당한데, 소외인과 피고 사이의 사실혼관계가 파탄되어 더 이상 회복될 가능성이 없는 이상 피고는 형평의 원칙상 이 사건 전세금의 증여자인 원고에게 그 중 소외인의 몫에 해당하는 5, 500만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

2. 그러나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전세금은 원 · 피고의 경제적 상태에 비추어 상당히 고액에 해당하는 점, 피고와 소외인은 서로 만난 지 한달 정도 지나 바로 결혼에 이르게 된 점, 두 사람은 부부로서의 공동생활을 시작하면서 당분간 서울과 대구에 떨어져 살면서 주말에만 함께 하기로 한 점, 원고는 피고와 소외인 사이의 혼인이 더욱 견고하고 지속적인 관계로 발전하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피고에게 이 사건 전세금을 중

여한 점, 피고도 이러한 사정이 아니라면 원고가 1억 1천만원이라는 금원을 교부하지 아니하였으리라는 사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다고 보여지는 점, 피고 명의로 전세권설정등기가 경료되어 그 금원은 전액 피고에게 귀속되리라는 점 등이 인정되는바, 이러한 각 사정에 피고와 소외인의 공동생활의 기간 및 태양, 파탄에 이르게 된 경위 등을 종합하여 보면 원고가 피고에게 이 사건 전세금을 교부한 것은 상당한 기간 내에 법률상 혼인이 불성립할 것을 해제조건으로 하는 중여라고 할 것이고, 이와 같은 내용의 해제조건은 전세금의 중여 당시 원 · 피고 모두 양해하고 있어 묵시적으로 표시되었다고 봄이 상당하며, 한편 ' 상당한 기간의 여부는 혼인의 발단 및 경위, 부부공동체의 형태, 공동생활의 기간 및 상황, 자녀의 유무, 부부로서의 대외적 관계 등 여러 가지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인데, 이 사건에서는 혼인신고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주말에만 동거하는 비정상적 동거생활이 유지되었을 뿐 아니라 서로 불화가 계속되던 중 그 사실혼관계가 6개월 만에 파탄에 이르렀다는 사정에 비추어, 원고의 중

여에 있어서 상당한 기간 내에 법률상 혼인이 불성립한다는 해제조건은 확정되었다고 보아야 하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위와 같은 해제조건의 성취로 인한 원상회복으로서 이 사건 전세금 전액을 반환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며, 나아가 위와 같은 각 사정에 비추어 볼 때 결혼생활이 단기간에 파탄된 이 사건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 금원은 원고에게 전액 반환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 형평의 원칙에도 부합한다고 할 것이다 ( 대법원 2003. 11. 14. 선고 2000므1257 ( 본소 ). 1264 ( 반소 ) 판결 참조 .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고가 이 사건 전세금을 피고와 소외인에게 1 / 2씩 중여하였다고 해석한 후 피고와 소외인 사이의 사실혼관계가 파탄됨으로써 피고는 형평의 원칙상 이 사건 전세금 중 1 / 2만 원고에게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해 제조건부 증여 및 형평의 원칙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하여 판단하지 않고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여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 · 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

대법관

재판장 대법관 이강국

주심 대법관 유지담

대법관김용담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