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행정법원 2014.08.27 2014구단7254
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주문

1.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처분의 경위

가. 원고는 1992. 3. 18. 해병대에 입대하여 1994. 6. 28. 만기전역 한 후, 2013. 10. 23. 피고에게, 군복무 중 사격훈련으로 인하여 ‘귀울림현상(이명)’(이하 '이 사건 상병‘이라 한다)이 생겼다는 이유로 국가유공자 등록을 신청하였다.

나. 피고는 2014. 2. 20. 원고에게, 군복무와 이 사건 상병 사이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 객관적 자료가 없다는 이유로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대상자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정, 통지하였다

(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2, 8호증, 을1호증의 각 기재

2.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가. 원고의 주장 1) 원고는 군에서 기관총(M60) 사수로 복무하며, 정기적으로 M60기관총과 K2소총으로 사격훈련을 받았는데, 당시에는 귀마개를 전혀 지급하지 않았다. 사격 중 처음 귀울림현상(이명)이 생겼는데, 처음에는 시간이 지나면 줄어들어 크게 신경 쓰지 않았으나, 반복적 훈련으로 증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긴장되고 매일 반복되는 병영생활에서 당시 군병원에서 제대로 치료받을 기회가 없었고, 1994. 6 제대 무렵에는 B이 사망하여 군에 비상이 걸려서 결국 치료를 받지 못하고 전역하였다. 2) 원고는 1994. 6. 28. 전역 후 복학준비 및 부모님 농사를 돕기 위해 해남에서 거주하였는데, 1994년 여름경 이명 증상이 너무 심하여 해남군 C 소재 ‘D의원’에서 진료를 받았다.

3 원고는 이후 시간이 지나면 좋아질 것으로 생각하고 또 학업, 취업 등으로 신경을 쓰지 못하다가 20년이 지난 현재까지 이명 증상이 지속되어 2013. 9. 28. E이비인후과에서, 2013. 10. 8.부터 상계백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는데, 그곳에서 원고의 이명증상이 군복무 중의 사격훈련 때문에 발병했다는...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