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대전고등법원 2018.11.09 2018노396
통화위조등
주문

피고 인과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항소 이유의 요지

가. 피고인( 양형 부당) 원심의 양형( 징역 2년 6월, 몰수) 은 지나치게 무거워서 부당하다.

나. 검사( 법리 오해, 심리 미진, 양형 부당) 1) 원심은 피고인에 대하여 유죄를 선고 하면서도 검사가 제출한 증거들 중 압수 조서 (2018 고합 111호 사건 증거 목록 순번 29, 이하 ‘ 이 사건 압수 조서’ 라 한다 )에 대하여 사후 압수영장을 발부 받은 사정을 찾을 수 없다는 이유로 증거능력을 부정하였으나, 위 압수 조서에 대해서는 사후 압수영장을 발부 받은 사실이 있으므로 위와 같은 원심은 판단은 부당 하다( 법리 오해 및 심리 미진). 2) 원심의 양형은 지나치게 가벼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검사의 법리 오해 및 심리 미진 주장에 대한 판단 원심 및 당 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하면 ① 대전 중부 경찰서 소속 사법 경찰관 경감 AR, 사법경찰 리 경위 AH가 2018. 3. 9. 15:45 경 대전 서구 C 앞 노상에서 피고인을 이 사건 통화 위조 혐의로 긴급 체포한 사실, ② 위 경찰관들이 피고인을 긴급 체포하면서 피고인이 보관하고 있던 범행도 구인 칼라 프린터, 위조 지폐 등( 증 제 9 내지 49호) 을 영장 없이 압수한 사실, ③ 이후 대전지방 검찰청 소속 검사 BT이 형사 소송법 제 217조 제 2 항에 따라 피고인을 체포한 때로부터 48시간 이내에 압수 수색영장을 청구하여 2018. 3. 11. 이를 발부 받은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런 데도 원심은 이 사건 압수 조서에 기재된 물건들에 대하여 사후 압수영장을 발부 받은 사정을 찾을 수 없다면서 이 사건 압수 조서가 증거능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말았으니,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심리를 미진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따라서 이 점을 지적하는 검사의 주장은 이유 있다.

다만, 이 사건 압수 조서의...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