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고등법원 2015.08.21 2015나2006294
손해배상(기)
주문

1.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이유

기초사실

G은 2009. 6. 3. 수원시 I아파트에 대하여 3자녀 특별공급을 신청하여, 위 아파트 6406동 2702호(이하 ‘이 사건 아파트’라 한다)의 수분양자로 당첨되었는데, 당시의 주택법령에 따라 위 수분양자 지위는 3년간 전매가 금지되는 것이었다.

G으로부터 이 사건 아파트의 분양권 전매를 중개해 줄 것을 의뢰받은 피고 E, F는 2009. 6. 22. 피고 B, C에게 이를 중개하고, 피고 B, C은 원고에게 이 사건 아파트의 분양권 매매를 알선하였다.

피고들의 위 중개행위를 통하여 원고는 2009. 6. 24. G과 사이에,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한 G의 수분양자 지위를 원고가 양수하고, 그 대가로 프리미엄 4,000만 원을 원고가 G에게 지급하며, 분양계약금과 잔금은 원고가 부담하기로 하는 내용의 분양권양도계약(이하 ‘이 사건 양도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다.

원고는 이 사건 양도계약 체결 과정에서 2009. 6. 22. G의 계좌로 인지대 명목으로 170만 원을 송금하였고, 위 양도계약 체결일부터 2009. 6. 30.까지 분양계약금 62,259,000원과 프리미엄 4,000만 원, 중개수수료 300만 원 등 합계 105,259,000원을 지급하였다.

G은 위 분양계약금 62,259,000원을 주식회사 한국토지신탁에 납부하고 분양계약을 체결하였는데, 위 분양계약상 분양대금은 합계 622,590,000원이고 중도금대출액은 304,720,000원인데, 그 이자는 시행사와 수분양자가 절반씩 부담하기로 약정되어 있었다.

2011. 9. 16. 정부의 분양권 전매제한 완화조치로 이 사건 아파트의 분양권도 합법적으로 전매할 수 있게 되었으나, G의 다른 채권자에 의하여 2011. 6.경 위 분양권에 대하여 청구금액 800만 원의 채권가압류가 집행되어, 수분양자 명의이전이 곤란하게 되자, 원고는 2012. 2. 20. 피고 B를 통해 G에게 위 가압류 해제 비용으로...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