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beta
텍스트 조절
arrow
arrow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07.19 2015가단57247
소유권이전등기
주문

1. 원고의 주위적 청구와 예비적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1. 기초사실 원고는 1982. 12. 22. 집합건물인 서울 서초구 C 아파트 이(E)동 104호의 소유권을 취득한 자이고, 피고는 1977. 10. 20. 위 아파트 부지에 인접한 서울 서초구 B 공원 471.9㎡(이하 ‘이 사건 토지’라고 한다)의 소유권을 취득한 자인 사실, 이 사건 토지는 당초 위 아파트 건설 사업부지인 환지 전 37필지 토지에 포함되어 있던 것으로서 위 37필지 토지는 1992. 4. 22. 환지되어 구획정리가 완료된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거나, 갑 제1 내지 7호증(가지번호 포함)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여 인정된다.

2. 판단

가. 원고 주장의 요지 1) 주위적 주장 위 아파트는 최초 설계시 이 사건 토지를 포함하여 환지 후 D, E 토지를 단지의 일부로 계획하였고, 위 아파트의 분양안내서에도 아파트 건설 위치가 서울 서초구 F 외 36필지로 되어 있으며, 위 36필지에는 이 사건 토지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피고는 위 아파트 건설사업의 주체로서 분양 당시 수분양자들에게 위 토지의 소유권을 이전해 주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절차를 완료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 사건 토지는 실질적으로 위 아파트 구분소유자들의 소유라 할 것이므로, 원고는 공유물의 보존행위로써 피고에게 피고 명의로 마쳐진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한다. 2) 예비적 주장 가사 이 사건 토지가 위 아파트 구분소유자들의 공유물이 아니라 하더라도, 원고를 비롯한 구분소유자들은 30년 이상 위 토지를 소유의 의사로 평온, 공연하게 점유하여 왔으므로 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이 사건 토지 중 원고의 대지권 지분에 해당하는 47,720분의 133.57 지분에 관하여 2002. 12. 12. 취득시효 완성을 원인으로 한...

arrow